•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피 흘림 없이 희생양 메커니즘을 끊는 내러티브의 힘 (The Power of Narrative Breaking the Scapegoating Mechanism without Bloodshe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0.03
26P 미리보기
피 흘림 없이 희생양 메커니즘을 끊는 내러티브의 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52권 / 1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경희

    초록

    이 논문은 르네 지라르의 이론으로 사무엘하 11-12장을 읽는 것이 열린 독자 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한 성서영성학 논문이다. 필자는이 질문으로 논문을 시작한다: “르네 지라르의 모방욕망이론으로 사무엘하 11-12 장을 읽을 때, 독자에게 어떤 변화(희생양 메커니즘을 알아차리고, 그것에 저항) 가 있나?” 필자는 먼저 지라르의 이론을 일곱 개로 단순화 시킬 것이며, 그 이론 으로 사무엘하 11-12장의 다윗의 이야기를 분석할 것이다. 지라르는 희생양 메커 니즘을 끊는 길은 ‘무고한 희생양의 죽음’이라고 설명한다. 예수처럼, 세례요한처럼 순전한 희생자의 죽음이 복수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런 지라르의 전통적 이론에 한계를 지적한다. 물론, 지라르의 주장처 럼, 무고한 희생자의 죽음이 복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지만, 누군가는 피 흘리며 무고하게 죽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사무엘하 12장에서 이런 보수 적인 지라르 이론의 한계에 대한 대안을 발견한다. 그것이 ‘내러티브의 힘’이다.
    비록 나단의 내러티브 후에도 다윗의 아이가 죽기는 했어도, 일반 왕들이 부리는 권력의 횡포(직언한 나단을 죽임, 우리아를 죽인 다윗의 의도를 안 요압을 제거함 등)로 인한 잠재된 피흘림을 막아내었다. 나단이 다윗 앞에서 한 비유(내러티 브)가 더 큰 피 흘림이 없이 희생양 고리를 끊어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내러티 브는 고전적 지라르의 이론을 극복하며 피 흘림이 없이 저주의 메커니즘을 끊어 냄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biblical spirituality that helps readers to become transformed by reading 2 Samuel 11-12 with the theory of René Girard (mimetic desire). The question that I began with the paper is “‘how does the narrative in 2 Samuel 11-12 help the active reader change?’ Such as the awareness of scapegoating mechanism and being able to resist it?” Out of the complex theory of Girard, I have selected seven key elements that are useful in working with the literary text, and have analyzed the narrative in 2 Samuel 11-12. In Girard’s traditional idea ‘the shedding of blood’ is required to challenge and break the cycle of the scapegoat mechanism. However, I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Girard on this point that is ‘the power of narrative.’ Although the child of David and Bathsheba die after Nathan’s parable to David, there would not be more potential bloodshed through David such as Nathan’s murder from David after Nathan has shared the parable or Joab’s murder who has known how David has made Joab kill Uriah. I demonstrated that Nathan’s parable (the power of narrative) challenged the potential violence of David and the cycle of scapegoating mechanism without any bloodshed of Dav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