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생양 메커니즘과 폭력의 윤리적 문제 -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과 희생양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The Ethical Problem of Scapegoating mechanismand Violence - Focusing on the Mimesis theory and Scapegoating mechanism of René Girard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5.11
29P 미리보기
희생양 메커니즘과 폭력의 윤리적 문제 -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과 희생양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40권 / 273 ~ 301페이지
    · 저자명 : 이종원

    초록

    르네 지라르의 모방 이론과 희생양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희생양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폭력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를 위협에 빠뜨리는 폭력의 근원을 추적하고 폭력 극복의 길을 찾고자 한다.
    희생양 메커니즘이란 폭력적 성향의 집단적 전이현상으로서, 공동체가 갈등으로 인하여 와해될 위기에 처하게 될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로에 대한 증오심을 힘없는 개인이나 소수 집단에게 쏟아 부어 공동체 내부의 긴장과 불만을 해결하는 방식이다. 공동체는 희생양에게 모든 갈등의 책임을 전가시켜 희생제의를 치름으로 다시 안정을 찾게 된다.
    희생양 메커니즘은 위기에 처한 공동체를 구원하고, 폭력의 악순환을 중단시키는 효과적인 도구로 인식되었다. 희생양은 공동체 내부의 폭력을 진정시키고 분쟁의 폭발을 막기 위하여 선택되는데, 그들은 폭력을 당하더라도 보복이나 복수할 능력이 없는 자들이었다. 희생양에 대한 폭력에 공동체의 구성원 전체가 참여한다는 점에서 폭력은 만장일치적 성격을 지닌다.
    하지만 희생양 메커니즘은 피억압자의 희생을 정당화하면서 억압자의 권력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는 기능으로 작용하기에 문제시된다. 희생양의 입장에서 본다면, 아무리 목적이 정당하고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하더라도 결국은 또 다른 하나의 폭력일 뿐이다. 희생양 메커니즘은 일시적 미봉책으로서 공동체가 어려움에 직면할 때마다 언제라도 반복될 악순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에 문제시 된다. 또한 희생제의 속에는 집단적 죄악이 들어 있다.
    따라서 우리가 사는 세상이 더욱 정의롭고 평화로운 곳이 되기 위해서는 희생양 메커니즘을 넘어서야 한다. 예수는 자발적인 자기희생을 통하여 폭력의 악순환을 끊었다. 예수는 비폭력 정신을 실천함으로써 평화와 화해의 길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가 몸소 실천한 평화의 정신을 되새기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 want to analyze critically the problems of violence focusing on the Mimesis theory and Scapegoat mechanism of René Girard. I surveyed the origins of violence that endanger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want to suggest the solutions to it.
    According to Girard, victim mechanism is the phenomenon that the tendency toward violence transfers collectively. When the community runs into danger because of reciprocal conflict, it tends to remove the violence through pouring the reciprocal hatred into the weak or minorities. Imposing the scapegoat with all responsibility for their conflict, the community sacrifice him. As a result, the community begin to recover stability and peace.
    The victim mechanism is a useful instrument to save the community from crisis and to stop a vicious circle of violence. The function of the victim is to stabilize the community and prevent an explosion from the conflict. The victims are so weak that they aren't able to retaliate or seek revenge. The violence toward the scapegoat is related to all of the community because all of them participate in this violence. Thus this violence is based on unanimity.
    The victim mechanism has problems straightening the power structure of the victimizer and justifying the sacrifice of the depressor. But from the viewpoint of victims, it is just another act of violence even if it brought about a good goal and an efficient result.
    The victim has double faces of the sacred and the evil. The sacred victim comes out of these double functions. This has become the cause of violence and also brought communities peace. But victim mechanism is a temporary band-aid. When the community faces a crisis, it causes a vicious circle.
    Sacrificial ritual contains the collective crime. To make our world more just and peaceful, first of all, we must overcome victim mechanism. For this purpose, we must meditate on the spirit of peace that Jesus revealed to 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