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時習의 「張良贊」의 이면 -鮮初 新儒學 이념 체화 과정의 일양상- (The context of Kim Si Seup’s 「JangRyangChan(張良贊)」)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2.06
30P 미리보기
金時習의 「張良贊」의 이면 -鮮初 新儒學 이념 체화 과정의 일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9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현

    초록

    문학작품은 표면적으로는 매우 평이해서 별다른 의미가 없을 것 같아 보이는 작품이라 할지라도 어떤 방식과 시각으로 분석하느냐에 따라 전혀 새로운 지점을 보여준다.
    이렇듯 우리가 간과했던 많은 지점들을 새롭게 분석해 낼 때, 우리 문학과 문학사는보다 풍요로워지며 새로운 시각과 연구의 장이 열릴 수 있다. 본고는 그 일례로 김시습의 「장량찬」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김시습의 「장량찬」은 漢 高祖 劉邦을 도와 漢을 창업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세운 張良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史贊의 형식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장량이라는 인물이 너무나 잘 알려져 있고, 그 인물에 대한 이미지 역시 특정 이미지로 고정되어 있기에 김시습의 「장량찬」 역시 평이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본고는 김시습의 「장량찬」이 단순히 장량의 영웅적 모습만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당대의 지성사적 흐름을 담고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점을 드러내기 위해 먼저 여러 史贊과 漢詩 작품을 통해장량이라는 인물의 이미지가 문학 작품 속에서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장량의 이미지는 영웅적 면모로 귀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김시습의 「장량찬」이 이러한 전통적 이미지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작품을분석한 다음 鮮初에 간행된 三綱行實圖 와의 관계, 宋代 新儒學者들의 논의와의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량찬」의 해석법은 삼강행실도 의 장량 해석과 일치하였는데, 이러한 해석법은 근본적으로 송대 신유학자들의 장량 해석에 그 유래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시습의 「장량찬」은 이러한 지성사적 흐름 위에 놓여 있었던것이라 할 수 있는데, 古來의 관점들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자기 나름의 판단 하에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형상화하였다.

    영어초록

    Even if a literary work seems so ordinary superficially that it seems not to have any special meaning in it, it could exhibit totally new aspects according to what methods or views are employed for the analysis. Like this, if we analyze those neglected aspects newly, our literature and history of literature can be richer, and through this, we can open a new perspective and field of research as well. To come up with such example,this article chooses Kim Si Seup(金時習)’s 「JangRyangChan(張良贊)」 as the subject of analysis.
    Kim Si Seup’s 「JangRyangChan」 is a work that embodies in the form of SaChan(史贊) a historic figure named Jang Ryang(張良)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founding Hàn(漢) helping Liú Bāng(劉邦), Hàn(漢)’s Gāo Zǔ(高祖). Since Jang Ryang is too well-known and the image of that figure is also fixed as a certain image, Kim Si Seup’s 「JangRyangChan」may seem a little mundane.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not just that Kim Si Seup’s 「JangRyangChan」 simply pictures the heroic aspects of Jang Ryang but that it also contains the flow of Intellectual history during that period in the other side. To prove this aspect, first of all,this study examines what flow the figure named Jang Ryang’s image shows in the literature through various works like SaChan(史贊) or Chinese poem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Jang Ryang’s image all adds up to his heroic aspects. Next, in order to study how Kim Si Seup’s 「JangRyangChan」 is different from such conventional images, this paper analyzes the work in detail and then examines its relations with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published in Early Chosun(朝鮮初)and relations with the discussions of neo-Confucianists in Song Dynasty (宋代新儒學者). As a result, the analysis method of 「JangRyangChan」corresponds to SamGangHaengSilDo ’s analysis of Jang Ryang. This method of analysis basically has its origin from the analysis of neo-Confucianists during Song Dynasty on Jang Ryang. Kim Si Seup’s 「JangRyangChan」 can be said to be laid on the flow of such Intellectual history; however, Kim Si Seup did not just follow those thing as they were but embodied them from his own perspective through developmental acceptance of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