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해주 시기 유인석의 의병 노선과 ‘관일약(貫一約)’ (Yu In-seok's Righteous Army Leadership and Kwanilyak Organization in Maritime Territory(1908~1914))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7.02
41P 미리보기
연해주 시기 유인석의 의병 노선과 ‘관일약(貫一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26권 / 173 ~ 213페이지
    · 저자명 : 구완회

    초록

    후기 의병기를 거치면서 통합군단 결성을 꿈꾸던 유인석은 의병전쟁의 근거지로 연해주를 선택했다. 그러나 한때 의병전쟁의 무대였던 연해주의 항일 세력은 분열을 겪고 있었으며, 애국계몽운동 세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었다. 투쟁 노선과 출신 지역을 둘러싼 갈등으로 분열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전국 의병을 하나의 지휘 체계로 묶는 통합군단을 구상하던 유인석은 노선이 다른 세력과 연대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의병 봉기를 위한 일에 헌신할 사람들을 모은 명단인 「의안」에 애국계몽주의자들까지 들어있는 것은 그런 까닭이다.
    노선을 달리하는 이들까지 끌어들이는 상황에서 유인석은 통합군단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바람직한 나라를 재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나라를 되찾아도 그가 생각한 이상적인 나라가 아닐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합군단을 구상하면서 이를 통제하기 위한 핵심적 전위 세력이 필요하다고 여겼고, 그 결과가 관일약이란 조직으로 나타났다.
    관일약은 현실을 ‘나라’와 ‘도’와 ‘몸’과 ‘사람’이 망하는 상황으로 규정하는 데서 출발했다. 그리고 성리학적인 가치 기준에서 규정한 이 네 가지 요소를 사랑하는 마음을 ‘하나로 꿰어야[貫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관일약은 성리학적 가치가 구현된 사회를 회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국계몽운동과 공존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1909년 7월에 출범한 관일약은 서북 지역에서 의병에 가담했던 이들, 유인석이 서북 지역에서 강학하면서 받아들였던 제자들, 연해주에서 새로 맞은 제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향약 조직의 형태를 본받았고, 정기적인 모임을 거치면서 강령을 읽고 신념을 다지며 국권 회복의 꿈을 키웠다.
    그러나 관일약은 유인석이 기대했던 것처럼 성공하지 못했다. 요동과 국내 인사들까지 끌어들이려고 하였으나 연해주 일부 인사들의 범주를 거의 벗어나지 못했다. 계몽운동세력과 연대하는 것에 대한 내부의 반발도 있었다. 게다가 통합군단을 출발시키자마자 조선이 병합되고, 신해혁명, 러․일간의 관계 강화 등 국제적 여건이 악화했기 때문에 관일약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영어초록

    Yu In-seok's Righteous Army Leadership and Kwanilyak Organization in Maritime Territory(1908~1914)

    Ku Wanhoe

    〔Abstract〕

    Through the latter period of righteous army activity, Yu In-seok moved to Maritime Territory as a base for the activity, dreaming of organizing the unified corps(in autumn, 1908). There was, however, a split over struggle policies of AntiJapan movement groups among Koreans in Maritime Territory. He could not but band together with other groups. That's why 'Uian(the list of people dedicating themselves to righteous army uprising)' has the names of people supporting patriotic enlightment movement.
    Yu In-seok felt keenly the necessity of leadership leading the unified corps to the ‘right’ direction. Otherwise, the ‘upright’ country could not be realized even when the righteous army took the country back. So he organized Kwanilyak working as an advance guard for the righteous army activity.
    In the declaration of Kwanilyak, Yu In-seok recognized the situation as the collapse of 'country', 'morality', 'body', and 'person'. He thought these four core values of Neo-confucianism should be penetrated in unison. Kwanilyak follwed the system of traditional Hyangyak. Supporters of righteous army participated in Kwanilyak following his idea. They met regularly, read the doctrines aloud, and strengthened their belief, hoping to take their country back.
    Kwanilyak wasn't successful since it didn't pass the bounds of conservative righteous army activists living in a foreign country; there was inside opposition to solidarity with the enlightment movement group; Japan annexed Korea; the international situation got worse.
    (Semyung Univ. / kuwanhoe@gmail.c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