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濁流>-‘약’의 향연- ( -the banquet of the modern dru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3.08
36P 미리보기
&lt;濁流&gt;-‘약’의 향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53호 / 291 ~ 326페이지
    · 저자명 : 이병훈

    초록

    본 논문은 근대의약이라는 상징체계를 중심으로 채만식의 <탁류>를 분석하고 있다. 이것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탁류>에 나타난 근대 의약제도의 구체적인 모습과 그 구조적 문제들, 근대의약의 다양한 의미 등을 살피는 것이다. 이것은 <탁류>에 대한 새로운 주제적 접근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약사의 복원 작업이기도 하다. 둘째로 <탁류>에 나타난 ‘약’이라는 상징의 서사적 쓰임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것은 서사적 모티브로서의 ‘약’이라는 상징을 중심으로 <탁류>를 분석하는 최초의 시도라는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 ‘제중당’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적인 의료체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를 제공한다. ‘제중당’에는 1930년대 말 근대적 제약업의 모습이 잘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채만식은 약제사 박제호를 통해 ‘약’의 불평등한 생태계를 묘사하고 있다. 그는 근대의약 시장과 체계의 부조리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인물이다. 박제호 자신이 이런 구조적 모순을 이용해서 폭리를 취하고 있는 당사자이기 때문이다.
    <탁류>에서 근대의약은 주로 등장인물들의 왜곡된 삶과 그 결과에 대한 응급처방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예컨대 무분별한 성적 욕망의 흔적을 지우는 약(매독 치료제), 탐욕적인 인간을 심판하는 약(독약), 기억하고 싶지 않은 과거를 지우는 약(낙태약) 등이 그것이다. 이것은 질병에 대한 합리적인 치료방법이라는 근대의약의 기능적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그렇다면 근대의약의 기능이 이렇게 전도된 원인은 무엇일까? 우리는 그 원인을 두 가지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하나는 근대사회의 왜곡된 삶이고, 다른 하나는 근대의약 자체의 특성이다.
    <탁류>의 주인공들은 근대의약의 힘을 빌려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거나 그 피해를 감추려고 한다. 여기서 약의 본래적 기능은 변질되고 왜곡된다. 예컨대 매독 치료제는 무분별한 성적 욕망의 증거인멸 수단이 되며, 독약은 복수의 무기가 되고, 분만촉진제들은 낙태약으로 변질되는 것이다. 이것은 근대의약이 근대사회의 왜곡된 삶을 지탱하는 중요한 한 축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근대의약의 왜곡된 쓰임은 그 자체의 특성에서 연유하는 것이기도 하다. 근대의약은 자연의 산물이 아니라 인공의 산물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로써 약의 형태는 단순화되었고, 약에 대한 인간의 접근성은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 근대의약의 기능 전도, 즉 약의 오남용은 바로 이런 메커니즘 속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탁류>에 등장하는 약은 대부분 식민지 현실을 사는 인물들의 비극적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약’은 식민지 조선의 근대적인 의료체계를 드러내는 핵심적인 기호이자, 식민지 현실을 사는 민중의 비극적 운명을 암시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d Chae Man-Sik’s <Turbid Stream> throughthe symbol system of the modern drugs. This has two purposes. First, Iwas trying to explain the specific form of modern medicine, itsstructural problems and various means of modern drug, that appearedin <Turbid Stream>. This approach is not only a new subject for thework but also restor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history ofpharmacy in Korea. Second, I was trying to analyze ‘drug’ as asymbol in the work.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urbidStream> through the symbol system of drug as epic motif.
    Above all, ‘Jejungdang’ as drugstore gives important keyword, thatunderstand Korea health care system of Japanese colonial era. In‘Jejungdang’ was well reflected the modern pharmaceutical industryof the end of the 1930s. And Chae Man-Sik criticize the inequalecosystem of ‘drugs’ through druggist Park jeho. He is a figure, whowell understand absurdity of the modern pharmaceutical market andsystem, because Park jeho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structuralcontradictions and profiteer in that situation.
    The modern drugs in <Turbid Stream> emerge as a symbol ofemergency prescription for distorted life of characters and its result.
    For example, it is a drug to clear signs of indiscriminate sexualdesire(syphilis cure), a drug to judge human greed(poison), a drug toerase the past, that do not want to remember(abortion drug). This is farfrom the functional purpose of the modern drugs as reasonabletreatment for the disease. If so, what is the cause of this inversion ofthe function of modern drugs? We can be found the cause in tworespects: the one is the distorted life of modern society, and the otherone is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drugs itself.
    The characters in <Turbid Stream> should try to realize theirdesires, or conceal the damage through the modern drugs. Because ofthis the inherent feature of the drug is altered and distorted. Forexample, syphilis cure is means of destruction of evidence ofindiscriminate sexual desire, poison is the weapon of revenge andparturifacient is transformed into an abortion drug. This isdemonstrated, that the modern drugs is one axis to sustain modernsociety's distorted life. The misuse of the modern drugs are originatedfrom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drugs itself. The modern drugs arenot a product of nature, but the result of artificial. The result was asimplified form of drugs and human accessibility for drugs hasimproved by leaps and bounds. Distortion of the features of moderndrugs, that abuse of the drug was immediately available in themechanism.
    The drug in <Turbid Stream>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ragiclife of the person in colony. In this regard, ‘drug’ is a important sign,that reveal Korea's modern health care system, as well as a symbol,which implies the tragic fate of Korean people of Japanese colonial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