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랍 주시(酒詩)의 시대별 양상에 관한 연구-자힐리야 시대부터 이슬람력(A.H.) 2세기까지-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lassical Arabic Wine Poetry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Jahiliy Age to A.H. 2nd centu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01.11
26P 미리보기
아랍 주시(酒詩)의 시대별 양상에 관한 연구-자힐리야 시대부터 이슬람력(A.H.) 2세기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9호 / 49 ~ 74페이지
    · 저자명 : 김능우

    초록

    인류역사에서 술은 유구한 기원을 갖는다. 기원전 시대의 경우 멀리는 고대 이집트의 오시리스 신화에 술에 관한 기록이 나오며 그 이후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신화와 로마의 박카스 신화에까지 그 기록이 남아있다. 동양의 경우 기원전 2천년 경 중국 고대 신화에 술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며 우리 민족의 고대 건국신화에도 술이 자연스럽게 나타나 있다. 이처럼 동서양을 통틀어 술이 인류와 더불어 긴 세월을 지속해왔음은 술이 단순한 음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특별한 기능을 지닌 인간사회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며 이는 곧 술에는 사회적, 심리적으로 끊임없이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매력이 내재되어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술의 기능이나 효과에 관련해서는 사회적, 심리적, 제의적 측면에서 분석해볼 수 있다. 사회적으로 술은 커뮤니케이션적 기능을 가지며 이는 심리적으로 사회구성원 간의 통합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온다(박재환 1999:41-2). 그러한 커뮤니케이션이 현실을 넘어 초이성의 세계를 향해 초월적 존재를 지향하게 될 때 그것은 곧 제의적이고 신비적인 경험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철학적 차원에서 본다면 술은 인간 존재의 고독을 초월적 대상을 포함한 타인과의 합일을 통해 실존적 한계를 극복하는 매체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의식(意識)의 세계를 초월하게 해주는 술의 기능을 고려한다면 이성의 견고한 틀의 사고를 뛰어넘어 자유로운 감정의 발산 속에서 직감과 영감을 구하려는 시인들, 넓게는 예술가들은 항상 취기에 살고자 하는 자들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문학평론가들은 시는 환각과 유사한 도취의 상태에서 마음에 일어나는 정신 현상을 표출하는 것이라 본다. 이성은 명징성과 사건진술에 강한 면을 보이는 반면 시적 경험의 효과는 약화시킨다. 물론 시작(詩作) 활동에서 이성이 무용하다는 것은 아니다. 이성의 힘이 없다면 정서는 제대로 작용하지 않으며 이미지가 마음에 각인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성은 시적 경험에 용해되어야 하고 이성이 정신을 온전히 통제하도록 하는 일은 없어야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술과 시인의 관계가 있다. 술은 정신 내 의식의 중심을 마취시켜 시인과 현실간의 경계를 제거하게 되고, 시인은 의식 있는 상태에서 가질 수 없는 진리와 비밀로 충만하게 된다. 그만큼 술을 다룬 문학작품은 존재론적인 문학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술을 다룬 문학은 인간의 고뇌, 운명의 진리에 대한 인간의 당혹함을 그려낸다.
    술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는 카므르(khamr)이다. 이 카므르는 동일한 어근을 갖는 khāmara라는 동사의 의미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 동사는 ‘~에 가깝다, ~와 섞이다’의 의미이다(Ibn Manẓūr:kh-m-r 항목). 술을 나타내는 카므르를 설명한 부분을 보면 카므르는 곧 ‘정신 또는 이성(理性, ʿaql)과 혼합됨’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말해 술이 정신에 혼돈을 일으키는 요인이 됨을 뜻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아랍어 카므르는 곧 인간의 정신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을 하는 것에 착안해 만들어진 단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술을 나타내는 다른 아랍어 단어는 라흐(rāḥ)인데 이 단어 역시 ‘영혼, 정신’을 의미하는 루흐(rūḥ)에서 파생된 것임을 감안할 때 아랍인들에게 있어서도 술이 인간의 정신에 미치는 효과가 충분히 고려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른 외국어에서 술을 의미하는 단어와 아랍어의 카므르, 라흐를 비교해 보면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영어의 스피리트(spirit), 불어의 에스프리(esprit), 독일어의 가이스트(geist)는 모두 술이라는 의미 이전에 그 어원은 ‘정신’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또 한문으로 술 재료인 에틴알콜이나 알콜을 주정(酒精)이라고 하는데 여기서도 술은 ‘정(精)’ 곧 정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짐작케 한다. 이는 곧 동서양에 걸쳐 다양한 언어권의 민족에게 술은 곧 정신세계와 불가분의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준다.
    세계적 명성을 떨친 시인들 중에는 술을 즐기는 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술에 도취되어 영감을 획득하는 경험을 즐겼던 것이다. 그 예는 많아서 가령 아랍문학에서는 알-아으샤al-Aʿshā, 따라파Ṭarafah, 알-아크딸al-Akhṭal, 아부 누와스Abū Nuwās가 있고 서구에서는 보들레르, 파를린, 랑보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술을 금지한 이슬람 시대에 아랍 시인들이 어떻게 술을 즐기며 주시를 지을 수 있었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본론에서 이슬람과 음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랍문학사의 기원인 자힐리야 시대에서 이슬람 시대 A.H. 2세기 간 아랍 주시의 시대별 경향이나 양상을 다룰 것이다. 아랍 주시는 최고(最古)의 원문들이 이슬람 등장 이전인 자힐리야 시대 자료에서 발견되며 이후 이슬람 시대에 들어와서도 지속적으로 쓰여졌다. 특히 A.H. 2세기경 시인 아부 누와스에 이르러 아랍 주시는 절정에 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시기별 주시의 경향 및 특성을 모든 시인들의 전작(全作)을 통해 알아보는 것은 사실상 어려우므로 논자는 시대별 주시에 관련된 양상을 개괄하고 대표 시인들의 작품을 예시하는 방식으로 논지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시대별 아랍 주시의 양상과 발전 과정을 조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taking view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classical Arabic wine poetry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Jāhilīy Age to A.H. 2nd century. In addition, it is from the cultural viewpoint planned to search the background about Islam's prohibition of liquor for Moslems.
    Data of Arabic wine poems in Jāhilīy Age shows that the Arabian men before Islamic Age enjoyed drinking wine, regarding it as symbol of manlihood and heroic temper. Though prohibited by religious doctrine in Islamic Age, wine has never been away from the Arab's minds which were thirsty for 'open hearts' and man's mental freedom. During A.H. 1st-2nd century In Islamic Age, many wine poems have been composed by Arab poets, some of them such as al-Akhṭal, Abū Nuwās and al-Walīd bn Yazīd enjoyed for themselves drinking wine and expressed vividly the effects of drink in verses.
    Arabic wine poetry with the change of times has been undergone some development in its form and contents. In most wine poems of Jāhilīy Age the theme of wine has been used as one of thematic parts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poems. Therefore Jāhilīy poets neither gave a full account of wine, nor expressed wine drinker's mental state, and their poems are limited to superficial observation and description of the external shapes of wine. Also Jāhilīy poetry shows its limitations of development in that there are few wine verses delivering the poets' experiences of drink and the effects of drink in their mind.
    While Islamic Age witnessed appearance of many poets enjoying drink and expressing their mental state under the influence of drink. Among them, al-Akhṭal of Umayyah Age left poems concentrating on wine theme, conveying the romantic taste of drinkers, and his wine poems are characterized by refinement in description and expression. Khalīfah of ʿAbbas Dynasty, al-Walīd bn Yazīd's wine poems are peculiar in including his view of life that he pursues freedom, not bound by religious doctrine. His wine poems which extend narrative of wine to reflection on man's life are proof of the astonishing development of Arabic wine poetry.
    After al-Walīd, Abū Nuwās was a luminary in wine poetry. Abū Nuwās with inclination for urban life rather than for Bedouin life indulged in wine, seeking freedom of thinking and conduct through his life and in his wine poetry. He composed many wine poems in which he melted his disappointed love, his doubt about religious life and his profound knowledge of philosophy and religious doctrine. His wine poetry is not only excellent in rhetorical devices, but also is outstanding in diverse and interesting topics concerning wine. Moreover Abū Nuwās in his wine poems treated of subject of existentialism through his reflection on vanity in life and man's desti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