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의 순간에야 확인되는 가족의 문화적 경계: 9.11 테러와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ultural Boundaries of Families: 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September 11 Attacks and ROKS Cheon’an Sinking)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2.05
42P 미리보기
죽음의 순간에야 확인되는 가족의 문화적 경계: 9.11 테러와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20호 / 265 ~ 306페이지
    · 저자명 : 왕혜숙, 최우영

    초록

    이 글은 2001년 미국의 9.11 테러와 2010년 한국의 천안함 침몰 사건을 둘러싼 양 사회의 가족 이야기를 비교 분석한다. 두 사건은 미국과 한국 사회에서 안보와 관련하여 경종을 울린 중대한 사건이었다. 동시에 두 사건은 안보의 차원 이외에도 중요한 사회적 쟁점을 수면 위로 부각시킨 결정적 계기였다. 두 사건 모두 엄청난 수의 희생자를 만들어냈으며, 희생자를 위한 보상금은 천문학적 단위에 이르렀다. 그 결과 두 사건 모두 엄청난 보상금을 희생자의 유가족 중 누가 받는가를 둘러싸고 법정 다툼이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사망자의 보상금은 본질적으로 ‘유언이 없는(intestate) 상속’, 즉 고인이 재산 처분에 있어 특정한 상속 방법과 상속인을 지정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에서 더욱 문제가 되었다. 누가 정당한 수혜자인가를 둘러싼 법정 투쟁은 두 사회에서 오랫동안 잊고 있던 근본적인문제, 바로 ‘누가 가족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결국 보상금을 둘러싼 법적 분쟁은 단순히 경제적 문제이기보다는 가족의 경계를 재확인하고 가족으로서의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한 문화적 투쟁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위기라는 우발적 상황에서 전개된 가족을 둘러싼 인정투쟁 속에서, 서로 다른 행위자의 전략과 담론이 어떻게 한 사회에서는 가족 문화의 변화를, 그리고 다른 사회에서는 기존 가족 문화의 강화라는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양 사건의 사후 진행 과정은 문화, 그중에서도 특히 가족 규범이 특수하고 구체적인 역사적 순간에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two legal fightings among families that happened around compensation fund of the September 11 attacks in 2001 and ROKS Cheon’an Sinking in 2010. Both events have caused heavy casualties. Due to the fact that two events were an unprecedented national crisis, many relief funds were immediately set up to assist victims and their families and ran into astronomical figures. Not surprisingly, two events caused a lot of lawsuits among surviving families to get these compensation funds.
    Among this tidal wave of lawsuits, the most controversial case was the lawsuits on dead victims’ fund because the amount of fund itself was huge and, to make matters worse, its unique nature of “intestate succession”. The absence of the deceased’s will raised a fundamental question of “who should get payments from the compensation funds”, in other words, “who is legitimately entitled to inherit the deceased’s properties, and to what are they entitled?” Such questions are closely related with definition of families and family boundary in a society. In this context, lawsuits can be interpreted as cultural struggles to get a social recognition as families. Therefore, this article illustrates lawsuit processes as a cultural event specifying how (family) culture operates in a specific, concrete historical sequences.
    This research compares two different processes of cultural struggles around family boundaries which are triggered by the crisis. Such processes unintentionally involves the change or reinforcement of family norms in a society. Two different trajectories of boundary struggles provide a very good window through which to examine the impact of different familial norms, in that inheritance systems are often a function of family structures and cultural values in a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