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그나가의 니야야학파 지각론 비판 (Dignāga’s criticism on the Theory of the Naiyāyik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1.10
23P 미리보기
디그나가의 니야야학파 지각론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리뷰 / 30호 / 91 ~ 113페이지
    · 저자명 : 박대용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디그나가(Dignāga, ca.480-540)의 Pramāṇasamuccaya(vṛtti) (이하 PS(V)) 1장 「현량장」 17~20게송과 자주에 나타난 니야야학파(Naiyāyika)의 지각 정의에 대한 비판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 자료는 200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학술원의 에른스트 슈타인켈너(E. Steinkellner)에 의해 새롭게 복원된 범본 (梵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디그나가는 상대적으로 전반부에 속하는 PS(V) 1.1-12에서 자신 혹은 자파(自派)의 지각 정의(pratyakṣa-lakṣaṇa)--PS 3cd, “pratyakṣaṃ kalpanāpoḍhaṃ nāma jātyādiyojanā ||”(지각은 분별을 배제한 [직접인식이고, 분별이란] 명칭과 종류 등이 결합한 것이다.”)--를 설명하고, 최종적으로 PS 1.12 게송에서 인식수단과 결과, 그리고 작용은 서로 다르지 않다는 비별체설(非別體說; 유식의 ‘동시지각설’)을 내세운다. 이어지는 게송과 자주에서는 『논궤』(13~16게송) ⇨ 니야야학파(17~20게송) ⇨ 바이쉐시까학파(21~24게송) ⇨ 상키야학파(25~33게송) ⇨ 미망사학파(34~44게 송) 순으로 타 학파들의 지각 정의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고 비판을 가한다. 특히 그는 PS(V) 1.17-20에서 니야야학파의 『니야야수뜨라』(Nyāyasūtra, 이하 NS)-- NS 1.1.4, “indriyārthasannikarṣōtpannaṃ jñānam avyapadeśyam avyabhicāri vyavasāyātmakaṃ pratyakṣam ||(지각은 감관과 대상의 [직접] 접촉을 통해 발생한 인식이어서 ⑴ 표현 불가능하고 ⑵ 착오가 없으며 ⑶ 결정을 [그] 본성으로 한다.)”--에 나타난 지각 정의를 소개하고 이 세 가지 한정사들이 갖는 오류(doṣa)들을 통렬히 지적함으로써 그들의 지각 이론이 틀렸음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디그나가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니야야학파의 NS 1.1.4 내용을 중심으로 선행 검토하고, 이어서 범본 PS(V) 1.17-20에 나타난 디그나가의 비판을 집중적으로 살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a follow up investigation on Ernst Steinkellner’s newly restored Sanskrit text (2005) regarding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perception (pratyakṣa) of the Naiyāyika, which is referenced regularly in the first chapter of Dignāga’s (ca. 480-540) work, Pramāṇasamuccaya(vṛtti) (PS(V)) 1.17-20.
    In PS(V) 1.1-12, which belongs to the first of Dignāga’s definition of perception (pratyakṣa-lakṣaṇa), is as follows -- PS 3cd, “pratyakṣaṃ kalpanāpoḍhaṃ nāma jātyādiyojanā ||(Perception is a combination of [direct perception, excluding discernment] name and kind, etc.)”-- Dignāga’s conclusion contains the theory of non-separate which asserts that the means, results, and actions of cogni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What follows is Vādavidhi (kk. 13-16) ⇨ Nyāya School (kk. 17-20) ⇨ Vaiśeṣika School (kk. 21-24) ⇨ Sāṃkya School (kk. 25-33) ⇨ Mīmāṃsaka School (kk. 34-44). In PS(V) 1.17-20,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Nyāya School’s Nyāyasūtra (NS) is of particular importance -- NS 1.1.4, “indriyārthasaṃnikarṣōtpannaṃ jñānam avyapadeśyam avyabhicāri vyavasāyātmakaṃ pratyakṣam ||(Awareness is recognition caused by direct contact between a sensory organ and an object. Thus, it is impossible to express, free of error, and naturally determined.)”-- This thesis will demonstrate that the perceptual theory expressed in this passage is incorrect. This will be shown by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 (doṣa) that exists between these three propositions.
    Shortly after Dignāga’s death, Uddyotakāra (ca. 550-610) of the Nyāya school raised an objection to Dignāga’s criticism based on Nyāyavārttika. In addition, this rebuttal (uttarapakṣa) for this counterargument has led to careful logical developments by Dharmakīrti (ca. 600-660) and Jinendrabuddhi (ca. 725-785), etc., however that issue will not be dealt with here.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a preliminary review, which focuses on the contents of NS 1.1.4 of the Nyāya School, which was the object of Dignāga’s criticism. Following this is a review of Dignāga’s criticism as it appears in PS(V) 1.17-2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