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계적 매출액모형을 이용한 전단지 효과분석 및 최적 전단지 게재주기 도출 (Modeling the Impact of Feature Advertising on Sales to Derive the Optimal Advertising Interval)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07.03
22P 미리보기
단계적 매출액모형을 이용한 전단지 효과분석 및 최적 전단지 게재주기 도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22권 / 1호 / 59 ~ 80페이지
    · 저자명 : 김동훈, 이승연

    초록

    다양한 업계에서 전단광고에 지출하는 마케팅비용이 증가하면서, 전단광고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
    런 현실에 발맞추어 전단광고의 효과를 설명하는 매출액모형을 형성하여, 효율적인 광고비용 지출을 위한 지침을 제
    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단광고가 브랜드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전단광고 게재주기에 의해 그
    영향력이 조절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전단게재주기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
    으로, 매출액에 미치는 전단지 게재효과를 판매확률 증대효과와 조건부 판매액 증대효과로 분해하여, 2단계로 구성
    된 매출액 모형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한 유명 백화점의 두 지점에 입점해 있는 여성의류 브랜드들을 대상으로 모형
    을 분석한 결과, 각 지점의 전체 여성의류 브랜드 중에서 각각 76.1%와 70.7%에 해당하는 브랜드들이 판매확률과
    조건부 판매액 두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형에서 도출된 최적전단게
    재주기 전략을 따르게 되면, 현재의 주기로 시행한 경우에 비해 브랜드의 연간매출액이 두 지점에서 평균적으로 각
    각 16.0%와 17.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출액 모형은 두 가지 측면에서 전단광고 효과
    를 설명할 뿐 아니라, 브랜드 전단광고를 계획하는 마케팅관리자에게 효율적인 비용지출을 위한 전단게재주기의 결
    정 기준을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While advertising in general leads to long term franchise-building benefits and sales promotion leads to a more
    short term and immediate sales response, feature advertising(sales flyers) is a marketing communication medium
    that integrates the benefits of the two (Burton, 1999). As such, feature advertising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Korea by a wide variety of retail businesses such as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and supermarkets. It has
    been reported that over 50% of Korean department store industry’s total communication budget has been
    allocated to feature advertising and the total feature advertising spending in Korea amounted to 250 billion won
    (approximately US$ 300 million) in 2004.
    The effects of feature advertising on sales have been studied widely in marketing. Feature advertising has been
    found to increase sales through store switching(Kumar and Leone, 1988), brand switching(Guadagni and Little,
    1983; Gupta, 1988; Lemon and Nowlis, 2002), purchase quantity increases(Neslin et al, 1985; Ailawadi and
    Neslin, 1998; Gupta, 1988), and shortening of inter-purchase times(Neslin et al, 1985 Gupta, 1988). On the other
    hand, research have also shown that the effects of feature advertising diminish with repeated exposure(Tellis,
    1988; Nordheilm, 2002; Campbell et al, 2003).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presents a brand level model that describes and measures the impact of
    feature advertising on sales and then uses the model to derive the optimal average interval of feature advertising
    that maximizes sales. The impact of feature advertising is modeled as a two stage process where the feature
    advertising firs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purchase and then increases the sales amount given purchase. The
    logic of the model can be presented in the following diagram. In essence, the unconditional sales model that
    measures the impact of feature advertising was specified as the product of two equations where one represents the
    probability of sales incidence and the other, sales amount given sales incidence. Three variables related to feature
    60 마케팅 연구 M a r c h . 2 0 0 7
    Brand appears in feature advertising
    Total sales impact of feature advertising
    =Sales probability increase Sales amount increase
    Increase in sales likelihood
    Sales Probability Model
    Increase in sales amount
    (Given sales)
    Conditional Sales Amount Model

    advertising were included in the model: (1) Insertjt: whether brand j appeared in the feature advertising at time t
    (0-1 variable), (2) Sincejt: number of valid days since brand j appeared in the feature advertising at time t (the offer
    contained in the feature advertising is valid for three days and hence the Since variable takes on the values 1, 2, or
    3 if Insert=1 and 0 otherwise), and (3) INTjt: number of days since brand j last appeared on a feature advertising.
    In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this combined model was calibrated using women’s clothing sales data from
    two stores of a major Korean department store chain. The data contained one year’s worth of daily purchases by
    2,000 selected customers for 227 brands of women’s clothing. Out of the 227 brands, 142 were chosen for
    analysis on the basis that they were featured at least 5 times during the one year period. The model parameters
    were estimat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brands. The results showed that 76.1% and 70.7% of the brands in the
    two stores respectively experien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sales probability as well as sales
    amount due to feature advertising.
    As the second stage in the analysis, the combined sales model and the estimated brand-level parameters were
    used to derive an equation representing expected total yearly brand sales as a function of the INT (feature
    advertising interval) variable. Specifically, the yearly brand sales is specified as the sum of the expected sales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brand is featured and the expected sales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brand is not
    featured.
    The expected sales during featured period is specifi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times a brand(j)
    is featured in a year is 365/INTj. Since each time a brand is featured, the content is valid for 3 days, the
    expected(predicted) sales during the 3 valid days is summed and in turn multiplied by 365/INTj. This yields the
    total brand sales over the featured period. The expected sales during the time the brand is not featured is the
    expected(predicted) sales for non-featured days multiplied by the number of days the brand is not featured.
    The yearly expected brand sales equation was then maximized with respect to INT to yield the optimum feature
    interval for each of the brands. The optimization results indicate that when all brands follow the optimal feature
    advertising schedule, the brand sales will increase on average by 16.0% and 17.6% respectively in the two stor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optimal interval was longer than the current average interval for 24% of the
    brands. This suggests that for these brands, reducing the frequency of feature would lead to higher sales. The
    optimal interval for the remaining brands(76%) was either same or shorter than the actual. The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nagers making feature advertising dec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