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왕실의 歲時風俗과 액막이 (歲時風俗(the annual customs) and 度厄(affliction) in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0.07
47P 미리보기
조선 왕실의 歲時風俗과 액막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33호 / 187 ~ 233페이지
    · 저자명 : 김효경

    초록

    일 년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베푸는 세시풍속은 한 해에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는 다양한 바람이 담겨져 있다. ‘辟邪進慶’ 혹은 ‘除厄招福’을 소망하듯이 벽사는 우리네 삶에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조선의 왕실에서도 때에 따라 액막이 의례를 베풀었다.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복된 날들로 만들기 위한 액막이는 주로 시간의 분기점에 해당되는 交點에 시행되었다. 정월 초하루, 正初, 端午, 冬至, 交年, 除夕, 臘日 등은 묵은해와 새해, 낮과 밤의 교차 등의 新舊를 구분 짓는 중요한 분기점이다. 이들 시간은 변화의 순간으로 혹여 라도 잡된 것이 침입하여 왕실의 안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을 이에 궁궐 대문으로부터 벽, 문설주에 이르기까지 귀신을 막는 문배로 치장한다. 궁궐은 禁宮으로 왕실 가족구성원의 안전을 위해서 무엇보다 우선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왕실은 액막이 의례와 관련한 물건을 頒下라는 형식을 통해 爲民과 仁政을 베푼다. 액을 막는 여러 도구들 門排, 艾虎, 端午符籍 등의 주술적인 도구와 煎藥, 臘藥 등의 약의 하사가 대표적이다. 하늘의 시간인 때[時]에 맞추어 액막이 물건을 반하하여 그들을 보호하는 국왕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임금은 백성의 고통을 함께 나누는 종교적 지도자가 된다.
    頒下는 왕실의례가 민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반하품은 특별한 상징을 지닌다. 그 자체만으로도 모방의 대상이 된다. 다양한 액막이 의례는 비유교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폐지되기에 이른다. 비록 왕실에서는 사라졌지만 민간에서는 오히려 더욱 더 활성화되기도 했다. 동짓날 팥죽 뿌리기, 애호, 도판, 도지의 활용 등이 그러하다. 민중은 자기화의 과정을 통해 오늘날까지 민속으로 자리매김했다. 왕실의 유교화와는 반대로 민간의 액막이 의례는 왕실의 의례까지를 수용하여 다양한 삶의 질곡에 맞서기 다변화되었다.
    왕실에서는 액막이 의례를 正道가 아니므로 중단하는 예가 빈번했다. 유교화의 진행으로 의례가 유교적 이념으로 대체되어 가기도 했다. 폐지되기 보다는 축소, 변화를 통해 변화를 추구했다. 지극히 개인적인 부분은 존속되는 경향이 강하며, 왕실 전체의 규모와 관련한 것은 폐지되었다. 비록 왕실에서는 사라졌지만 민간에서는 오히려 더욱 더 활성화되기도 했다.

    영어초록

    歲時風俗(the annual customs) which is held repeatedly in the unit of one year, is contained diverse hopes for being achieved in one year. As ‘辟邪進慶(Byeoksajingyeong)’ or ‘除厄招福(Jeaekchobok)’ is wished, 度厄(affliction) is one of what is important in our life. Even in the Royal family of Joseon, the ceremony of Aekmaki was held according to time.
    Aekmaki, which aims to overcome a fear of future and to make it fortunate days, was performed mainly at the intersection point, which corresponds to the junction of time. Lunar New Year's Day, the beginning in 正初(January), 端午(Dano,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冬至(Dongji, winter solstice), 交年(Gyonyeon), 除夕(Jeseok), and 臘日(Napil) are the important intersection points, which divide the old and the new such as the junction in the old year & new year and in day & night. As these days are the moment of a change, a problem may happen to safety of Royal family of being invaded by what is vulgar in case. Accordingly, from the gate in the royal palace to wall and Munseolju, those are decorated with Munbae of preventing ghost. As the royal palace is 禁宮(Geumgung), it is the space that needs to be preferentially protected for safety of Royal family members.
    The Royal family gives 爲民(Wimin) and 仁政(Injeong) through a form of 頒下(Banha) in goods related to the ceremony of Aekmaki. Several tools of preventing 厄(misfortune) are typical in magical tools such as 門排(Munbae), 艾虎(Yeho), and 端午符籍(Danobujeok) and in the gift of drugs such as 煎藥(Jeonyak) and 臘藥(Napyak). The king becomes the religious leader who shares the people's adversity, by showing the king's image of protecting them through Banha in goods of Aekmaki in line with the time, which is the one of the heaven.
    Banha also becomes the direct cause for which Royal familial ceremony has influence upon the folks. Banhapum has special symbol. It just itself becomes a target of imitation. Diverse Aekmaki ceremonies were regarded as non-Confucian, thereby leading to be abolished. Even if having disappeared in Royal family, it was further vitalized rather as well. Those are so in sprinkling Patjuk(Red bean soup) on winter solstice, and applying Aeho, Dopan, and Doji. Through the people's process of personalization, it has been positioned as folklore until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