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징벌적 손해배상액 또는 법정손해배상액에 관한 제도 도입 논의에 있어 절차법적 쟁점 (Procedural Issues on Adoption of Punitive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into Korea)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07.12
56P 미리보기
징벌적 손해배상액 또는 법정손해배상액에 관한 제도 도입 논의에 있어 절차법적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2호 / 149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규호

    초록

    공정거래법, 제조물책임법 등 특정분야에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액제도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고, 지적재산권법 분야에서는 한미 FTA의 타결로 법정손해배상액제도의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러한 제도의 도입은 우리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법적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와는 달리 지적재산권 분야에서는 법정손해배상액제도의 도입을 논의하고 있다. 2007년 7월 2일 외교통상부 등 관련 정부부처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인에게 공개된 한미 FTA 제18.10조 제6항에 따르면, “민사 사법절차에서, 각 당사국은 최소한 저작권 또는 저작인접권에 의하여 보호되는 저작물ㆍ음반 및 실연에 대하여, 그리고 상표위조의 경우에, 권리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 가능한 법정손해배상액을 수립하거나 유지한다. 법정손해배상액은 장래의 침해를 억제하고 침해로부터 야기된 피해를 권리자에게 완전히 보상하기에 충분한 액수이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적재산권법 가운데 적어도 저작권법,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상표법에는 법정손해배상액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생겨났다. 다만 이 협정문에 따르더라도 현행 민법의 손해배상제도에 배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우리나라의 현행 민법상 인정되는 손해배상제도에 부합하도록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위 협정문에 의거하여 2007년 9월 13일 입법예고된 저작권법 일부개정안 제125조의2에서는 실손해를 증명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소송에서 손해가 실손해에 미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권리자가 선택할 수 있고, 법원은 법정손해의 범위 내에서 적정한 손해액을 인정하도록 하되, 법정손해액의 상한(저작물당 1천만원/최고 5천만원)만을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표법 개정안에서는 상표위조행위의 정의에 관한 조항(제66조의2)와 법정손해배상액의 청구에 관한 규정(제67조의2)을 신설하여 상표위조행위의 경우에 법정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전술한 징벌적 손해배상액제도 및 법정손해배상액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이다. 따라서 본고는 미국에서 있어 이러한 제도에 대해 고찰한다. 다만 미국의 이 두 제도를 연구한 우리나라 문헌 중 실체법적 관점에서 접근한 문헌이 다수인 바, 본고는 이를 보완할 목적으로 절차법적 관점에서 이 두 제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면의 한계를 감안할 때, 법정손해배상액제도와 관련해서는 저작권법의 영역에 한정하여 살펴보고 상표법에 대한 분석을 차후 연구할 과제로 남기기로 한다.
    우선 본고는 징벌적 손해배상액제도와 관련된 절차적 쟁점을 다룬다. 즉, 본고는 (i) 징벌적 손해배상액제도의 목적 및 연혁, (ii) 그 활용가능성, (iii) 원고 소장에의 기재, (iv) 사전공표금지 조항, (v) 소송의 초기단계에 있어 징벌적 손해배상액에 근거한 주장의 금지, (vi)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한 증거의 제한, (vii) 기업 자산 또는 재정상태에 대한 증거개시의 제한, (viii) 절차의 분리, (ix) 증명도의 상향조정, (x) 징벌적 손해배상액에 대한 배심설시, (xi) 배심평결에 대한 제한 및 (xii) 과도한 징벌적 손해배상액에 대한 배심평결 이후 심사 등을 설명한다.
    그런 다음, 본고는 미국 연방저작권법을 논의하면서 (i) 그 연혁 및 목적, (ii) 법정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서 등록 및 (iii) 복수의 침해에 대한 법정손해배상액 등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절차법적 관점에서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액 또는 법정손해배상액에 관한 도입방안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Possible adoption of punitive damages is explored in some specific area such as antitrust law, product liability law. Unlike antitrust law, environmental law, or product liability law, statutory damages system is discussed in terms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Definitely, punitive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will affect business of Korean companies. In this regard, we need to research both regimes.
    Article 18.10.6 of KORUS FTA, which was disclosed and posted on July 2nd, 2007 on Korean government homepages including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prescribes that “In civil judicial proceedings, each Party shall, at least with respect to works, phonograms, and performances protected by copyright or related rights, and in cases of trademark counterfeiting, establish or maintain pre-established damages, which shall be available on the election of the right holder. Pre-established damages shall be in an amount sufficient to constitute a deterrent to future infringements and to compensate fully the right holder for the harm caused by the infringement.”
    Hence we need to adopt statutory damages system in Copyright Act,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and Trademark Act in Korea, subject to the definition and ambit of damages stipulated in Korean Civil Act, because the mere compliance with the KORUS FTA is not consistent with damages regime in Korean Civil Act.
    Article 125bis of Proposed Korean Copyright Act Bill, followed by the KORUS FTA, states that the infringed can select to seek actual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when the actual damages caused by the infringer can hardly be proved and that the maximum of the statutory damages is 10 million Korean Won per a copyrighted work without its minimum. According to the said provision, its maximum can be raised to 50 millionKorean Won per a copyrighted work when the infringem연구논문ent is willful and done for the infringer's benefit.
    According to the proposed amendment to Korean Trademark Act, section 66bis adopts the definition of a counterfeit of a mark or designation act counterfeits trademark and section 67bis provides statutory damages as a remedy for its counterfeit.
    The representative country in which punitive damages and statutory damages are available for litigators is America. Hence, this Article aims at scrutinizing the punitive damages and statutory damages system in America.
    A plenty of legal literature in Korea deals with punitive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in terms of substantive law, so that it can make the Article focus on the procedural issues of punitive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Also, as far as statutory damages is concerned, the Article will explore only copyright-related field because the ambit of just an article makes me narrow down its focus.
    For this reason, at the outset, the Article will deal with the procedural issues related to punitive damages, by explaining (i) its purpose and history, (ii) its availability, (iii) its statement in a plaintiff's complaint, (iv) prohibition of ad damnum clause, (v) bar on argument based on punitive damages at the early stage of litigation, (vi) evidentiary limitation on punitive damages, (vii) delay of discovery on a corporation's asset or financial situation, (viii) bifurcation of proceedings, (ix) heightened burden of proof, (x) jury instruction on punitive damages, (xi) limitation on jury verdict, (xii) review followed by jury verdict on excessive punitive damages.
    Afterwards, the Article will discuss American copyright law and delineate (i) its purpose and history, (ii) registration as a condition precedent to statutory damages, and (iii) statutory damages for multiple infringements.
    Finally, the Article will propose how the Korean legal community adopts the American-styled punitive damages or statutory damages from the proceduralist's view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