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페셜올림픽코리아 ‘스페셜 뮤직앤아트 페스티벌’ 플랫폼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비교분석 연구 - 국내 발달장애인 대상 프로그램 구성과 연출 방향을 중심으로 – (Special Olympic Korea ‘Special Music and Art Festival’ Comparative Analysis of Programs according to Platform Changes - Focusing on the Composition and Direction of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3.08
18P 미리보기
스페셜올림픽코리아 ‘스페셜 뮤직앤아트 페스티벌’ 플랫폼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비교분석 연구 - 국내 발달장애인 대상 프로그램 구성과 연출 방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31권 / 3호 / 203 ~ 220페이지
    · 저자명 : 오세영, 이진경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대상 이벤트로 진행 된 스페셜올림픽 코리아의 스페셜 뮤직앤아트 페스티벌의 코로나 전후 기간 동안 플랫폼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발달장애인 대상 이벤트의 글로벌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 연출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이전의 스페셜올림픽 코리아의 스페셜 뮤직앤아트 페스티벌은 해외 참가자들이 참여하며 세계적인 국제 이벤트로서 발돋움을 준비하였고 이를 위해 문화적 체험의 활동을 다양하게 마련하였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각국의 방역지침들이 강화되자, 2020년도에는 사전 제작한 공연 영상을 중계하는 것으로 페스티벌을 마무리하였다. 2021년에는 사전에 모집한 소수를 대상으로 교육 레슨을 진행하고 이를 영상 촬영하여 영상 중계하였으며 문화 체험 활동을 관람하도록 하였다. 2022년에는 방역지침을 지키며 대면의 페스티벌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해외 참가들은 참여할 수 없어 콘서트는 유튜브를 활용하여 생중계 하였는데 예상외로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고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하였다. 즉, 대면으로 진행 할 때 보다 대면과 비대면을 혼용하여 진행하였을 때,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참여하지 못했던 세계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참여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국제 이벤트의 본래 취지가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국을 홍보하고 교류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것에 반해 문화 체험활동은 크게 축소되었으며 전통문화체험은 전혀 진행하지 못했다. 스페셜 뮤직앤아트 페스티벌은 다양한 분야로 그 규모를 확대하며 페스티벌 명칭도 스페셜올림피아드로 바꾸고 해외 참가들도 더욱 유치하면서 발달장애인 대상 글로벌 페스티벌로서의 성장을 기대하였으나 불가피한 코로나 비대면으로 진행하면서 글로벌 국제 이벤트 성장에 난항을 겪게 된 것이다. 코로나가 종식된 시점에서 이 페스티벌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해외 참가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대면뿐만 아니라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더 많은 전 세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문화적 교류를 이룰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seeks and develops the direction of program composition and direction for the global growth of events for the arits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rograms according to platform changes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f the Special Music & Art Festival(SMAF, officially Special Olympiad since 2020), which was conducted as a special event for the artists with disabilities. SMAF before the COVID-19 was prepared to rise as a global festival event with the participation of foreign participants, and various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however with the outbreak of the COVID 19 virus, the quarantine guidelines in each country were strengthened and in December 2020, the festival was concluded by streaming video produced in advance. In 2021, festival had delivered educational music and art lessons for a small number of people recruited in advance, filmed them and streamed and did not delivered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Whil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global event was to promote and exchange the country in consideration of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were greatly reduced and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s were not conducted at all. SMAF was expected to grow as a sustainable global event for the artist with disabilities by expanding its categories from music to art and sports but due to the corona situation, the growth of events has been changed to non-face-to-face platform. At the point where Corona has ended, as SMAF 2023 is coming soon. SMAF 2023 will utilize not only face-to-face but also non-face-to-face online platforms to exceed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more people with/without disabilities around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with people to achieve solid foundation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growth of arts of artists with dis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