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서·해양 공간에 대한 작가의 인식 변화와 서사 주체의 운명애 재현 양상 연구—천승세의 중·장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Author’s Perception of Island and Ocean Space and Representation Aspects of Love for Fate of Narrative Subject —Focusing on the Novel of Cheon Seung-S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4.12
34P 미리보기
도서·해양 공간에 대한 작가의 인식 변화와 서사 주체의 운명애 재현 양상 연구—천승세의 중·장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4호 / 335 ~ 368페이지
    · 저자명 : 마혜정

    초록

    이 글은 천승세의 작품 중 섬과 바다를 배경으로 삼고 있는 「낙월도」(1973)와 「신궁」(1977), 『선창』(1981~1982), 『빙등』(1978~1991)을 ‘도서·해양소설’의 계보로 정리하고 그간 편중되었던 관련 논의의 자장을 넓혀 작가의 문학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공간과 장소의 개념을 빌려 앞의 두 작품에 신성적 실존 공간이, 뒤의 두 작품에 지리적 실존 공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다. 이어 작품의 세부에서 인물들이 의미의 중심 장소를 자기 장소로써 선취하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고 공간에 대한 작가의 인식 변화와 함께 공간의 힘에 맞선 서사 주체의 운명애가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살폈다. 먼저, 「낙월도」와 「신궁」의 섬 공간이 신성적 실존 공간으로 지칭될 수 있는 이유로 유사—신의 존재와 장소적 신체인 무녀의 존재를 지적하고, 그것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자기 초월의 방식으로 신성이 지배하는 그 공간을 자신의 장소로 선취해가는 여성들의 수난사와 그 의미를 살폈다. 이어서 『선창』과 『빙등』에서는 현실 공간이 지리적 실존 공간으로 설정되면서 훼손된 역사적 장소로, 혹은 장소되기를 거부하는 자연으로 등장하는 바다와 그곳을 누리는 인간에 대한 치열한 탐색이 주조임을 지적했다. 그리고 보호받지 못하는 주체(호모 사케르)와 스스로 자기 정체성의 근간을 탐색하고 있는 주체의 행위 의미를 논의했다. 이로써 네 작품을 천승세의 도서·해양소설로 확정하고 이를 작가가 1970년대적 시대 정신을 견지하며 공간 인식의 지평을 넓힘으로써 문학 세계의 깊이 있는 확장을 위해 시도했던 결과로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osition four works by Cheon Seung-se within the lineage of ‘Sea novel’(maritime literature) and broaden the scope of previous discussions that have been somewhat limited, thereby provid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literary world. The works in focus are Nakwol-do (1973) and Shingung (1977), which are set against the backdrop of islands and the sea, as well as Seonchang (1981-1982) and Bingdeung (1978-1991). To this end, the paper first explains that in the former two works, a sacred existential space is established, while in the latter two, a geographic existential space is set up, using the concepts of space and place.
    The analysis then focuses on how the characters in these works preemptively claim significant locations as their own places and examines, through Nietzsche’s concept of ‘amor fati,’ how the author’s perception of space changes over time and how the narrative subjects’ embrace of fate manifests against the force of space. Ultimately, the paper concludes that these four works can be classified as Cheon Seung-se’s sea novel and views them as a result of the author’s attempt to deepen and expand his literary world by broadening the horizon of spatial perception while maintaining the 1970s’ zeitge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