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융의 개성화 과정에 비추어 본 주선애의 영성형성과정 연구 (A study on Chou Sun-Ae’s spiritual formation process in light of Carl Jung’s individu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3.06
30P 미리보기
칼 융의 개성화 과정에 비추어 본 주선애의 영성형성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74호 / 159 ~ 188페이지
    · 저자명 : 김희영

    초록

    본 연구는 융의 개성화 과정에 비추어 본 주선애의 영성형성과정에 관한 글이다. 영성은 학자들에 따라 그 정의가 다양하지만 공통된 특징은 자기초월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초월은 나와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초월자와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나와의 관계에서는 자기 객관화로,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타자 지향으로, 초월자와의 관계에서는 초월자를 향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영성은 삶을 둘러싸고 통합하는 점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관계가 깊다.
    이러한 영성형성은 융의 개성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 이유는 융의 페르조나와 자아의 분리, 그림자 인식은 자기 객관화의 차원과 관계가 깊기 때문이다. 또한 개성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그림자 투사 철회는 타인을 비난하기보다는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며, 타인을 선입견 없이 바라보게 하는 점에서 타자 지향과 관계가 깊다. 개성화 과정의 원동력인 자기(Self)의 상징이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은 초월자 하나님과의 관계로 나아가는 영성과 융의 이론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렇기에 융의 개성화 과정을 통해 영성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영성의 심리역동적인 차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은 주선애의 영성형성과정을 융의 개성화 과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주선애는 98년의 생애를 통해 민족의 아픔과 고난, 개인의 역경과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러한 고난과 갈등, 어려운 순간을 통해 개성화 과정을 이루었다. 따라서 문헌연구로 주선애의 개성화 과정을 통해 영성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기독교 영성교육의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주선애의 영성형성의 특징을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개의 삶을 통해 페르조나와 자아의 동일시가 약화된다는 것이다. 둘째, 새로운 소명을 통해 자아가 발달하고 개성화를 이루는 것이다. 셋째, 그림자 통합의 과정에서 십자가의 예수 그리스도를 경험하고, 성화의 과정을 이룬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선애의 영성형성의 특징을 통해 기독교 영성교육의 방향을 살펴보면 기독교 영성교육은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의 조화를 이루는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일상의 삶에서 초월적 하나님을 경험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참된 자기 자신이 되고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참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Chou Sun-Ae’s spiritual formation in the light of Carl Jung’s conception of individuation. Spirituality is defined in different ways by different scholars, but most consider self-transcendence as a necessary element. This self-transcendence can occur in the relationship with self, with others, and with the transcenden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elf, it appears as self-objectification; with others, it is as moving toward others;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ranscendent, it moves toward the transcendent. Spirituality is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 identity, in that it surrounds and integrates life.
    Spiritual formation is thus closely related to Jung’s concept of individuation, as this involves the separation of persona and ego, and shadow recogni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self-objectification. In addition, the withdrawal of shadow projection that occurs in individuation is closely related to moving toward others, in that it recognizes the shadow instead of blaming others, allowing one to look at others without prejudice. The fact that Jesus Christ is the symbol of the Self, the driving force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tells us that spirituality leading to a relationship with the transcendent God and Jung’s theor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us, if we examine the process of spiritual formation through the Jung’s individuation proces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psychodynamic dimension of spirituality.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cess of Chou Sun-Ae’s spiritual formation through Jung’s individuation process. Throughout her 98 years, Chou Sun-Ae experienced national pain and hardships, as well as personal adversity and difficulties; but through all of these hardships, conflicts, and difficult moments, she accomplished individualization. Therefore, by examining the spiritual formation through individuation in Chou Sun-Ae, I consider the direction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In this study,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Chou Sun-Ae’s spiritual formation can be identified. First, through a life of repentance, the identification between persona and ego can be weakened. Second, the ego develops, and individualization is achieved, through a new calling. Third, in shadow integration, the spiritual development comes to recognize Jesus Christ on the cross and achieve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Investigating the direction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hrough Chou Sun-Ae’s spiritual formation indicates that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should harmoniz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 and should develop an experience of the transcendent God in everyday life. By this means, the believer can achieve Self-realization and be a true Christian who practices love for God and love for neighb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