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애주(李愛珠) <바람맞이>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本性)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That Inhere in Ae-joo Lee’s ‘Barammaji’ Dance)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5.12
50P 미리보기
이애주(李愛珠) &lt;바람맞이&gt;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本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8호 / 47 ~ 96페이지
    · 저자명 : 김경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맞이>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몸짓으로 빚어지게 되었는지, 이 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바람맞이>춤의 생성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바람맞이>춤의 구성과 내용은 무엇이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셋째, <바람맞이>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은 무엇이며, 어떠한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내기 위하여 <바람맞이>춤을 춘 이애주의 춤 인생, 이 춤이 추어진 당대의 사회․역사적 상황, 문화운동의 특성 등을 고찰하였고, 이와 함께 <바람맞이>춤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 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을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바람맞이>춤에 관한 자료(인터뷰, 공개강의, 신문 및 잡지 기사, 논문, 단행본, 공연포스터 등)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의 질적 분석 방법을 토대로 기술, 분석, 해석하였고, 이를 결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람맞이>춤은 1) ‘진정한 춤은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이 반영된 삶의 몸짓이자, 소통’이라는 이애주의 춤 철학, 2) 1950년부터 1980년대까지의 사회․시대적 상황, 3)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피어난 민속과 민중문화 그리고 4)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움직임 등의 네 가지 맥락적 관계에 의해 탄생되었다.
    둘째, <바람맞이>춤의 구성은 1) 씨춤, 2) 물춤, 3) 불춤, 4) 꽃춤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춤판의 상징적 의미는 1) 씨앗으로 표현된 역사의 주인이자 기둥인 ‘민중’이 생명의 탄생과 성장으로 상징화된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그들의 ‘생명과 권리’를 2) 과도한 물과 불, 그리고 혹독한 바람으로 표현된 정부의 ‘독재체제’에 대항하여 3) 중심과 뿌리를 굳건히 새움으로써 새로운 생명인 꽃으로 피어나는 것으로 상징화된 민중의 ‘자주와 권리의 회복’이자 ‘희망’으로 해석된다.
    셋째, 이 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은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된다. 1) 기능적(機能的) 차원으로 표현성(表現性), 소통성(疏通性), 상징성(象徵性), 공명성(共鳴性), 살풀이성(煞풀이性), 치유성(治癒性), 해방성(解放性)이다. 2) 시의적(時宜的) 차원으로 사회성(社會性), 역사성(歷史性), 민중성(民衆性), 현장성(現場性)이다. 3) 계승적(繼承的) 차원으로 민족성(民族性), 전통성(傳統性), 정통성(正統性)이다. 4) 미학적(美學的) 차원으로 자연성(自然性), 생명성(生命性), 역동성(力動性), 즉흥성(卽興性), 창조성(創造性), 신명성(神命性)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Ae-joo Lee’s <Barammaji> dance was created and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that inhere in that dance.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is dance; second, what are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dance and its meaning; and third, which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are included in it.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I examined Ae-joo Lee’s life in terms of dance,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Korea from 1950 to 1980 in the context of social movements and the <Barammaji> dance, and also analyze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at dance to thoroughly extract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which it contains.
    This study mainly relied up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used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articles, seminars, notes from interviews and a documentary about her. I segmented the files by codes, and conceptualized subjects based on assigned co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the <Barammaji> dance arose from Lee Ae-joo’s dance philosophy, that authentic dance should spring from human life and reflects social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developed throughout her lifetime, encompass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Korea from 1950 to 1980, and from the college students’ social movements, especially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Seco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Barammaji> dance come from themes of four source dances; 1) seed dance, 2) water dance, 3) fire dance, and 4) flower dance. This dance symbolizes 1) the vitality of the common people, who are the main drivers of history, illustrated by the sprouting and growth of the seed, 2) how they prevail even though their rights are taken away by dictatorial government, illustrated by the effects of too much water, fire, and wind, and 3) how they finally emerge stronger and flourishing through regaining their independence, rights, and hope, illustrated by the strong roots and beautiful flowering of the plant.
    And third,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that inhere in the <Barammaji> dance are found in four dimensions. 1) Expressiveness, Communication, Symbolism, Resonance, Consolation, Healing, and Liberation as the functional dimension; 2) Sociality, Historical Reference, Populist Relevance, and Situational Accuracy as the timeliness dimension; 3) Ethnicity, Traditionality, and Authenticity as the inheritable dimension; and 4) Naturalness, Vitality, Dynamic Energy, Improvisation, Creativity, and Exhilaration as the esthetic dime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