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신파극의 ‘사랑-애(愛)’와 ‘슬픔’의 감정 수행 방식 및 영향 요인 연구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otional Performance of ‘Love-Affection’ and ‘Sadness’ in Korean Sinpa Drama -Focused on linguistic and nonverbal expressions-)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2.06
64P 미리보기
한국 신파극의 ‘사랑-애(愛)’와 ‘슬픔’의 감정 수행 방식 및 영향 요인 연구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67호 / 5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소은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 신파극에서 ‘사랑-애(愛)’를 통해 형성되는 ‘슬픔’의 ‘감정’을 형성하여 수행하는 방식과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그동안의 연 구적 태도에서 벗어나 감정 양식체로서 신파극에 대한 연구의 시각을 확장하고 자 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신문연재소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상호 텍스트적 관계 속에서 논의하였다. 신파극의 대본이나 공연 자료가 부재한 상황 속에서 신문연재소설은 상호텍스트적으로 유용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유성기 음반극, 장한몽가 등 당대의 노래들도 분석 논의한다. 우선, 당대에 편찬된 사전들에서 사랑의 개념이 변천되어 간 과정과 신파극 속 에서 형상화된 방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신파극에서는 전근대적 ‘애(愛)’와 근대적 ‘사랑’ 개념이 착종되면서 육체적 정절을 바탕으로 한, 정신적 사랑이 우 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사랑-애(愛)’가 조성하는 ‘슬픔’의 감정 이 집단의 전파력이 강한, 극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면서 공통 감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공통 감각으로서의‘슬픔’이 신파극에서 이별, 눈물, 조 우의 형식으로 전유되고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체어, 색채어, 의성 어·의태어, 감정 형용사 등의 언어적 표현과 삽화와 사진 속 몸짓, 행동의 에포 트 등의 비언어적 표현 요소들이 감정을 수행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서 역할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고는 신파극에서의 ‘사랑-애(愛)’와 ‘슬픔’의 감정 상황을 탐색함으로써 감 정 양식체로서 신파극이 시대와 어떤 관계를 맺으면서 정체화되었는지에 대해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동시에 대본과 공연 자료의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방법론의 축적이 필요하다는 것과, 보다 입체 적인 음성, 음악 등의 감정 요소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논의는 추후의 과제 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ay and factors of influence that form and perform ‘emotion’ of ‘sadness’ formed through ‘love-love’ in Korean Sinpa drama., This is an attempt to expand the perspective of research on the new wave drama as an emotional style, away from the research attitud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cussed the newspaper serial novels in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as an analysis object. In the absence of scripts and performance materials in the Shinpa drama, newspaper serial novels are useful data in terms of intertextuality. Songs of the time such as Yuseonggi record drama and Janghan Monga are also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the concept of love was changed in the dictionaries compiled in the time, and the way of being shaped in the new drama was confi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piritual love based on physical fidelity prevailed in the neo-paper drama as the concept of pre-modern ‘love’ and modern ‘love’ was conver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 of ‘sadness’ created by ‘love-ae (愛)’ was formed in a common sense as it was formed in the dramatic space with strong propagation power of the group.,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sadness’ as a common sense is being used as a form of separation, tears, and encounters in the new drama.,And it was found that the nonverbal expression elements such as body language, color language, onomatopoeia, mimetic language, emotional adjectives, etc., and the nonverbal expression elements such as gestures i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the eports of behavior play a role as the elements performing emo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clues about how the new wave drama has become identity as a form of emotion by exploring the emotional situation of ‘love-love(愛)’ and ‘sadness’ in the new wave drama. However,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various research methodology to solve the absence of script and performance data,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discussion of emotional factors such as more stereoscopic voice and music are left as a future task with the lack of ground as a simple r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