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면으로서의 여성성과 거부된 남성 동성애: 헨리 제임스의 「정글의 야수」에 나타난 동성애 공포와 젠더 플루이드 양상 (Femininity as a Masquerade and Denied Male Homosexuality: Homophobia and Gender Fluid Aspects in Henry James’s “The Beast in the Jungl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가면으로서의 여성성과 거부된 남성 동성애: 헨리 제임스의 「정글의 야수」에 나타난 동성애 공포와 젠더 플루이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25권 / 2호 / 75 ~ 101페이지
    · 저자명 : 조현준

    초록

    이 논문은 헨리 제임스의 「정글의 야수」에 나타난 젠더와 욕망의 양상을 고찰했다. 특히 텍스 안에 부재하는 기표이자 존이 자신의 운명으로 생각하는 ‘정글 속 야수’가 금지된 은밀한 동성애 욕망이며, 이런 존의 욕망을 발견하고 가려주는 동인이 ‘가면’이자 ‘벽장’으로서 메이의 역할이라고 주장하고자 했다. 특히 이브 코소브스키 세지윅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성애 문화 규범 속에 억압된 남성 동성애 욕망, 혹은 동성애 패닉을 읽어내려 했다. 자크 라캉의 ‘성차 공식’을 활용해 베일 혹은 가면으로서의 여성성을 논의하고, 정신분석학 상담실의 전이를 통해 두 사람 사이 이성애와 동성애의 경계 와해와 ‘젠더 플루이드’ 양상을 논의했다. 주인공 존 마처의 성적 자기 무지와 비결정성은 이성애 욕망의 실패이고, 비규범적 정체성을 도덕으로 조작하여 동성애 욕망을 은닉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존이 마지막에 자기 발견의 순간에 도달했을 때 자신의 정체성과 욕망을 인식하지만 규범의 규제 때문에 끝내 동성애 욕망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당대의 남성 동성사회성 규범이 남성 동성애 욕망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존은 무성적 유아론에서 욕망의 인정으로 나아간 것처럼 보이나 실은 정글 속 야수가 두려워 이성애에 머물고 동성애 욕망의 인정에 실패한다. 하지만 존과 메이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역전이의 상호 교감과 상호 영향은, 젠더나 섹슈얼리티의 이분법의 와해되는 젠더 플루이드와 다가적 성욕 양상으로 연결되어 미래의 새로운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가능성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male homophobia and gender fluid aspects in Henry James’s “The Beast in the Jungle” in terms of the male homosocial bonds called ‘homosociality,’ which excludes women as love objects and forbids male homosexuality in the name of homophobia or homopanic. The secret of the analysand, John Marcher, ‘the beast in the Jungle’ might be explained as a hidden homosexuality, and the analyst, May Bartram functions as a veil or mask to hide John’s homoerotic desire safely in the closet and deflect it into heterosexuality. Through May’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 symptoms, John’s narcissistic self-centrism, asexual morality, and belated awakening of life turns out to be male homopanic grounded on homosociality to deny male homosexuality in the hetero-normative society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as ‘The Beast in the Closet’ by Eve Kosofsky Sedgwick suggests. The gender fluid aspects based on transference and counter transference between John and May, the analysand and analyst can supply a new perspective to the short story’s disciplinary male homosociality embedded in heteronormativity and male homophobia. Gender fluid aspects between the hero and heroine can change the dichotomic gender stereotypes and coercive heteronormativity, rewriting the male homosocial bonds of the patriarchal morals and misogynic politics from gender dichotomy-free point of view. The gender fluid and non-dichotomic thoughts can open a new dimension of various genders and diverse sexua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