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가(大學街)의 역사적 변동과 공간의 재현을 둘러싼 갈등 : 부산대 ‘정문 앞 거리’를 중심으로 (The historical change of universities town and the strife among representation of space : Based on ‘the street at front gate of PNU’ cas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04
40P 미리보기
대학가(大學街)의 역사적 변동과 공간의 재현을 둘러싼 갈등 : 부산대 ‘정문 앞 거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22권 / 1호 / 163 ~ 202페이지
    · 저자명 : 이일래

    초록

    부산대학교 앞에는 ‘정문 앞 거리’라고 불리는 길이 있다. 이 거리는 부산대 정문부터 버스가 다니는 도로까지 70~80미터 길이의 길이다. 이곳은 도로를 막으면 제법 넓은 공간이 만들어져 한때 일 년에 수십 차례 문화공연이 개최되던 곳이었다. 그러나 2012년 하반기부터는 이곳에서 열리는 문화행사는 거의 사라지다시피 하고 있다. 정문 옆 대학 구내에 들어선 백화점이 통행을 위해 도로를 막고 집회나 공연을 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갈등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등이 나타나게 되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학생운동이 활발하던 시절 한국의 대학은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해방구였다. 학생 시위와 문화공연을 통해 ‘정문 앞 거리’는 역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대학의 상업화로 인해 백화점이 들어서면서 이러한 성격은 사라지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이 갈등은 세르토가 말하는 공간과 장소와의 긴장이며, 르페브르가 말하는 공간적 실천과 공간 재현의 충돌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는 자본주의적 도시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도시가 확장되면서 대학가는 거대한 상업지역으로 성장하였고, 재개발로 인한 젠트리피케이션은 ‘정문 앞 거리’가 가진 역공간으로서 기능을 제한하고 상실시켰다. 그러나 도시공간을 둘러싼 모순은 갈등과 저항을 일으키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There is ‘the street at front gate’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street is 70~80 meters long. Dozens of cultural performances had been opened in the street blocked the road. From the second half of 2012, there has been few events in the street. It is due to the oppose of the department store beside the front gate. The strife appears through the social process of Korean modern history. When the student movement was active, the campus was liberation zone from the political power. During these periods ‘the street at front gate’ became a liminal space through political demonstrations and cultural performances. But the department store was built in the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y and ‘the street at front gate’ was lost the liminality. In that context the conflict has arisen. This strife is the tension between space and place what Certeau says. Also conflict between spati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 of space what Lefebvre calls. At the same time, the change of capitalist city influence on the strife. The university town has been grown a massive commercial area with urban expansion. ‘The street at front gate’ lost the liminality by the gentrification of residential redevelopment around the campus. Contradiction of urban space still have potential of resistance and confli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