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廣開土王碑, 父王의 運柩 앞에서 靑年王이 보낸 경고 (Stele of King Gwanggaeto, or Stele of King Jangsu)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2.04
29P 미리보기
廣開土王碑, 父王의 運柩 앞에서 靑年王이 보낸 경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0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김태식

    초록

    中國 吉林省 集安市 동쪽 禹山下古墳群에서 19세기 말에 발견된 고구려 시대 거대 비석을 우리는 흔히 ‘廣開土王碑’로 부른다. 이러한 명칭은 이 비석이 그의 아들 長壽王이 죽은 아버지 광개토왕의 업적과 영광을 찬양하고 선전하기 위해 세운 것이라는 전제를 깔았으며, 실제 이런 이해가 이 분야 직업적 학문 종사자 사이에서도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를 과연 그렇게 부를 수 있는가?우선 이 비는 광개토왕(릉)만을 위한 기념비가 아니라 광개토왕릉을 포함하는 고구려 先代 왕들의 무덤이 밀집한 왕가의 공동묘지(royal cemetery) 전체 관리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 기념비라는 점에서 그렇게 부르기는 힘들다. 이 비석 자체에는 왕가 공동묘지의 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엄격하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광개토왕이 구상한 것처럼 기술되지만 우리의 분석은 이런 관리 시스템은 장수왕의 생각이었다. 설혹 이런 시스템이 그의 아버지인 광개토왕의 생각이었는지 모르나 그것을 실제 실행에 옮긴 이는 장수왕이었다. 그렇다면 장수왕은 무엇을 위해 생각을 했고, 이를 통해서 어떤 효과를 누렸을까? 비문을 포함한 다른 기록을 종합할 때 장수왕은 즉위 당시 나이가 18세에 지나지 않아 왕으로서의 본격적인 권위를 발휘하기 대단히 힘들었다고 판단되다. 이런 그가 아버지의 삼년상이 끝나는 시점에 맞추어 이 비를 세울 당시에는 21세였다. 동양의 전통적인 왕위 계승 시스템에서는 선왕의 삼년상이 끝나는 시점이 어떤 면에서는 진정한 의미에서 친정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본다면 장수왕은 아버지가 죽고 즉위한 바로 그때 실질적인 왕이 아니라 이 비를 세우는 그 시점에서 진정한 고구려왕으로 등극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비는 장수왕의 親政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런 분석은 이 비에 담긴 내용에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비문에는 신성불가침 구역이라고 할 수 있는 고구려 선대 왕릉 묘역의 권리를 침범하는 당시 유력 권력자들에 대한 경고로 일관한다. 요컨대 이 비문 내용은 신성불가침 구역을 침범하지 말고 또한 이들 구역을 관리하는 묘지 관리인들을 사사로이 매매하지 말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런 경고가 진정한 친정을 시작하는 젊은 왕의 선전포고와 같다고 본다. 이런 점에서 이른바 광개토왕비는 21세 젊은 왕이 재위 시절 절대 권력을 휘두른 아버지의 카리스마를 빌려 왕국을 통치하고자 한 기념비로 보며 따라서 이 비는 ‘by 장수왕, for 장수왕, of 장수왕’으로서의 장수왕비로 불러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enormous stele found in Jian, China, which was the early capital city of Goguryo, is most commonly called as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The name comes from the basis that the son (King Jangsu) erected the stele to honor and propagate his father’s achievements and this understanding is commonly accepted amongst scholars in this field. In order for it to be called the Stele of Gwanggaeto, the stele has to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The stele must be either of Gwanggaeto, by Gwanggaeto, or for Gwanggaeto.
    However analysis on this stele does not yield results that satisfy any of these conditions. In fact the Stele of Gwanggaeto is by all means, of Jangsu, by Jangsu, and for Jangsu. According to the analysis, this stele was not erected to honor just the tomb of Gwanggaeto as is commonly accepted, but rather is a monument that stipulated the regulations for managing the entire royal cemetery of the Goguryo kings, including the tomb of King Gwanggaeto. The engravings on the stele elaborates as though the organized system of management was devised by King Gwanggaeto, but on a closer look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system was in fact operated by King Jangsu. It may have been King Gwanggaeto’s idea but the person executing it to real life was King Jangsu. Then what was the motive of King Jangsu, and what effects were he aiming for?Various sources including those written on the stele gives us the information that King Jangsu was 18 years old when he took the throne. Initially it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for him to exercise strong powers as king, however this stele was erected when he was 21 years old, ending the three years’ mourning period for his father.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succession system, the timing of becoming a genuine independent “King” starts when the three years mourning period for the previous king has ended. With this in mind, it can be considered that King Jangsu finally became the real king of Goguryo when he erected this stele, rather than when he took the throne.
    This stele was a signal informing the shift of power to King Jangsu, and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contents of the stele. The epitaph concentrates mainly on giving warning to the influential powers that intruded the royal cemetery of the Goguryo Kingdom. It specifies not to trespass the cemetery of sanctity and not to privately buy or sell off management officials of the area.
    This warning can be considered as a declaration of a young king that has started to exercise his power. In this context this stele is a monumental evidence of a 21 year old youth attempting to control his kingdom by borrowing his powerful father’s charisma, and because of that, should be called the Stele of Jangsu, by Jangsu, and for Jangs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