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탈된 주체의 증환과 주이상스 <당신 얼굴 앞에서> (Sinthome and Jouissance of the Dispossessed Subject In Front of Your Fac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2.02
29P 미리보기
박탈된 주체의 증환과 주이상스 &lt;당신 얼굴 앞에서&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6권 / 1호 / 365 ~ 393페이지
    · 저자명 : 한귀은

    초록

    홍상수의 <당신 얼굴 앞에서>는 <밤의 해변에서 혼자> 이후에 나타난 박탈된 주체의 서사에, <강변호텔>에서 보인 죽음충동 서사가 통합되면서 궁극적으로는 팬데믹에서의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당신 얼굴 앞에서>에 나타난 취약하고 박탈된 주체가 어떤 방식으로 타자와 관계 맺으며 증환의 주체로서 주이상스를 향유하게 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인공 상옥은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이것은 그녀가 박탈됨의 상황에 처했음을 의미한다. 이 박탈됨은 주체의 궁핍을 불러온다. 이 때문에 더 이상 상징계적 욕망과 환상의 추구가 무의미해진다. 그녀는 치료를 포기하고 살아있을 때 할 수 있는 것, 도울 수 있는 것을 하려고 마음먹는다. 자신의 박탈됨을 수용하고 생의 시간에 타자를 지향하려는 의도를 갖는 것이다. 상옥은 자신의 ‘얼굴 앞’ 타자에게 말걸기를 시도하지만, 동생 정옥, 감독 재원뿐만 아니라 조카나 옛집에서 만난 소녀와의 관계에서도 이 말걸기에 성공하지는 못한다. 역설적으로 이 때문에 말걸기는 중단되지 않고 상옥의 주체화로 이어진다. 상옥의 주체화는 환상을 가로지르며 실재를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소녀와의 관계에서 말걸기는 상옥의 기도를 중단시킨다. 기도는 대타자를 향한 메시지이고 상징계의 틈을 메우는 환상이다. 비록 상옥의 기도가 대타자와의 동일화나 상징계적 욕망에 강박된 것이 아니라 감사의 담론이라 할지라도 그 기도는 부재하는 대타자를 상정한 환상이었기에 실재를 지향하는 상옥과는 모순되는 것이었다. 이 모순을 극복하게 한 것이 소녀를 향한 말걸기였고 이것은 재원과의 만남에도 이어진다. 이 만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상옥의 블라우스에 묻은 ‘얼룩’이다. 이것은 실재계적인 응시로서의 ‘얼룩(stain)’의 기능을 함으로써 상옥은 응시와 시선이 일치되는, 즉 실재계적 징후를 감지하는 주체로 변모한다. 감독의 음성메시지를 듣고 난 후의 그녀의 웃음은 그녀가 박탈됨에서 나아가 자기 박탈, 혹은 박탈-되기의 주체이자 주이상스의 주체임을 나타낸다. 그녀가 동생 정옥의 손 위에 자기 손을 올리고, 더 가까이 가서 “정옥아, 무슨 꿈을 꾸니?”라고 묻는 것은 타자를 향한 아름답고 고통스러운 말걸기이자 그녀가 자신의 증환과 동일시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팬데믹은 인류를 박탈의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당신 얼굴 앞에서>는 박탈된 주체가 향유할 수 있는 증환을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팬데믹 상황에서 동시대인이 지향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영어초록

    Hong Sang-soo's In Front of Your Face ultimately shows insight into the pandemic by integrating the narrative of the dispossessed subject that appeared after <On the Beach at Night Alone> and the death-drive narrative shown in <Hotel by the Ri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vulnerable and dispossessed subject in In Front of Your Face relates to others and ultimately has jouissance as a subject of sinthome.
    The main character, Sang-ok, has been sentenced to a limited time. This meant that she was in a situation to be dispossessed. And it leads to the deprivation of the subject. She decides to give up her treatment and try to do what she can and help with while she is still alive. This is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accept her own deprivation and to turn others in the time of her life. Sang-ok tries to talk to address ‘in front of her own face’. She is unsuccessful in address with her sister Jeong-ok, a film director, as well as her relationship with her nephew or the girl she met at her old house. However, because of this, her conversation is not stopped and paradoxically leads to Sang-ok's subjectivization. Sang-ok's sbjectivization appears to traverse her fantasy and gaze the Real. In particular, address with a girl stops Sang-ok's prayer. Prayer is a message to the Other and is a fantasy that fills the gap in the Symbolic. Although Sang-ok's prayer was a discourse of gratitude rather than being suppressed by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 or the Symbolic desire, his prayer was an fantasy premised on the absence of the Other, so it was contradictory to Sang-ok's pursuit of the Real. It was the address with that girl that made her overcome this contradiction, and this continues with her meeting with film director Jae-won. The ‘stain’ on Sang-ok’s blou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meeting. As this stain functions as a 'stain' as gazing of the Real, Sang-ok transforms into a subject whose eye and gaze coincide, that is, a subject that detects symptom of the Real. Her laughter after listening to her director's voice message indicates that she is the subject of becoming dispossessed and jouissance with pain. When she puts her hand on her sister Jeong-ok's and asks, “What are you dreaming of?” is her beautiful and painful address towards other, revealing that she is identifying with her own sinthome.
    The pandemic is driving humanity into a state of being dispossessed. In Front of Your Face raises the question of what contemporaries should value in a pandemic situation in that it shows the sinthome that a dispossessed subject should have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