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참여재판제도의 시행상황과 앞으로의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4.12
31P 미리보기
국민참여재판제도의 시행상황과 앞으로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26권 / 4호 / 61 ~ 91페이지
    · 저자명 : 이정배

    초록

    우리나라는 2008. 1. 1.부터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과 신뢰를 높이기 위하여 국민참여재판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였고,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면서 다각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한 개정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6년간의 시행상황을 분석해보면, 국민이 직접 재판에 참여함으로써 사법의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배심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은 편이나, 낮은 신청률과 높은 철회율, 지나치게 짧은 공판기일과 배심원 선정절차, 높은 항소율 등 여러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국민참여재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상사건의 범위를 확장하고, 일정 범위에서 강제주의를 도입할 필요가 있고, 충실한 심리를 위해 배심원 선정기일과 공판기일을 분리하거나 1일 재판시간을 제한하는 등의 개선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배심원 평결의 효력에 대하여는 아직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았고, 헌법상 논란의 소지도 있으므로 ‘사실상의 기속력’을 부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적절한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법적 기속력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하루 빨리 국민의 건전한 상식과 법 감정이 반영된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사법에 대한 불신이 사라지고, 배심원을 통한 국민적 공감을 얻어 재판 결과에 승복할 수 있는 성숙한 사법민주주의가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o heighten the righteousness and trust of democratic judiciary, our country has enforced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from the 1st January 2008 and an amendment debate is being currently progressed through many different research and investigations from opinions of each social hierarchies. By analysing this enforcement situation from the past six year, a positive outcome is being received of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s. Although the juror's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high, problems arose from this such as low rates of applications and high rates of withdrawals, extremely short trial dates and juror selecting procedures and high rates of appeal. There needs to be a wider range of targeting events to activate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There also needs to be an introduction of forced infusion in a certain range, and also a re-examination of the trial dates and restriction of a one day trial for a faithful psychology.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has not been properly settled to examine the juror's verdict effect, there may also be controversy of the constitution and endowing ‘de facto binding force’ will be appropriate in reality, however it is appropriate for the long-term. For the national justice system to be stably settled and distrust of the judicial system to disappear, listening to the sound of people and having common sense is needed. To get the public sympathy by the convinced jurors to we look forward to a mature justice dem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균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