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앞으로의 일본 율령제도 연구―그 과제와 전망― (Future Academic Study of Japanese Ritsuryō System: Its Challenges and Prospect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4.04
23P 미리보기
앞으로의 일본 율령제도 연구―그 과제와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24호 / 143 ~ 165페이지
    · 저자명 : 오스미 기요하루

    초록

    “일본의 고대국가는 율령국가라고 하는 특이한 형태를 통해 성립되었다.” 1980년대 이후 율령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요시다 다카시(吉田孝)의 主著 『율령국가와 고대사회』는 이 드높은 한 문장에서 시작된다. 니시지마 사다오(西嶋定生)의 동아시아 세계론의 영향을 받은 요시다의 문제 설정은 “7세기 동아시아에서 왜 일본만이 율령을 체계적으로 계승할 수 있었는가.”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이성시(李成市)가 비판하듯이 니시지마의 동아시아 세계론은 일본인에 의한 일본인을 위한 논의였으며, 사실은 일국사적 역사관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율령’이라는 역사적 개념 자체가 메이지 이래의 일본사 연구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본래는 외국사 연구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최근에 이성시(李成市)는 7세기 말의 신라가 당 율령제를 계승한 양상을 밝히고, 그것이 동시대의 덴무·지토(天武·持統)朝 國制의 정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北宋 天聖令의 출현은 다이호령의 편찬이 종래의 상정 이상으로 唐令의 강한 영향 아래에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서두에 언급한 요시다 다카시의 문제 설정은 일본 율령제의 특징은 해석할 수 있어도 한반도 諸國의 國制를 율령제의 틀에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일본 율령제의 형성을 唐 律令의 계승과 동일시하고, 일국 내에서의 단선적인 발전으로 파악하는 율령제의 이해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 따라서 ‘율령’, ‘율령제’라는 개념 자체를 재검토하고 재정립해 나가야만 앞으로의 율령제 연구에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Historian Yoshida Takashi stated at the very beginning of his book The Ritsuryō State and Ancient Society that “[t]he ancient state of Japa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nique form of the ‘Ritsuryō State.’” This book is known as his major work and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cademic study of the Ritsuryō system since the 1980s. He was influenced by the “East Asian worldview,” which was proposed by Nishijima Sadao, an ancient Chinese history scholar, and sees East Asia as one cultural sphere. Yoshida’s question was why Japan was the only country in East Asia in the 7th century that was successful in inheriting the Ritsuryō (Lü-ling) Codes from China. However, as Yi Songsi recently criticized, Nishijima's East Asian worldview was a subjective and localized argument. In addition, the historical concept of Ritsuryō itself was a product of Japanese historical study conducted since the Meiji era and was not applicable to the academic study of other East Asian countries in the first place.
    In his recent studies, Yi Songsi revealed how Silla succeeded the Tang’s Lü-ling system at the end of the 7th century and pointed out that this process was close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system of the dynasties from the same period, Tenmu and Jitō.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the Northern Sung T’ien-sheng Statutes (T’ien-sheng ling) helped scholars understand that the compilation of the Taiho Codes was mo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Tang Codes than had previously been assumed.
    Although Yoshida's approach might have reasonably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Ritsuryō system, it failed to describe the national systems of the Korean stat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itsuryō system.”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onsider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Ritsuryō system as a mere succession of the Tang lü-ling system and a linear development within a single cou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estion the ideas of Ritsuryō or Ritsuryō system themselves and seek to redefine them, and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future possibilities of Ritsuryō system’s academic study lie in this process of questioning and redef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