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사-환자 관계에서 감정이입의 의미 연구 : 말기 유방암 환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Empathy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 Centering on Cases of Terminal Breast Cancer Patien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0.07
32P 미리보기
의사-환자 관계에서 감정이입의 의미 연구 : 말기 유방암 환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격주의 생명윤리 / 10권 / 2호 / 107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이 글은 현대의학의 위기를 의사와 환자의 관계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양자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상호 인격적 관계성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데 목표가 있다. 그렇다면 의사-환자의 관계에서 양자의 차이를 극복하고 상호 소통과 신뢰관계의 구축이 어떻게 가능한가. 스그레챠가 주장하듯이, 의사-환자 상호 간의 관계가 4가지 모델 유형으로 고정되어 있기 보다는 현실적으로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양자 유형이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견해에 필자는 좀 더 의미를 두고 있다. 필자가 제시했던 말기 유방암 환자 사례에서도 드러났듯이 의사-환자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자의 관계를 어떤 모델 유형으로 규정하고, 확정시키기보다는 의료인-환자 관계에서 양자 간 얼마만큼 신뢰를 바탕으로 인격적 관계성이 구축되고 있는가에 방점이 있다고 본다.
    감정이입이 일정 부분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다면 공감과 감정이입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의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에게 직접적인 위안을 줄 수 있으나, 환자의 표정이나 심경 즉 내면적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공감에서는 상대방을 ‘위로’할 수 있으나 감정이입에서는 상대방의 외로움과 고통을 ‘이해’하고 상호 ‘교감’할 수 있는 가능성이 타진된다. 따라서 의사-환자 관계에서 의사의 환자에 대한 공감은 측은함을 유발시키지만, 감정이입은 의사가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환자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양자 간 소통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감정이입을 통한 환자-의사 관계에서는 환자를 인격적 주체로 이해할 뿐 아니라, 의사도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감정이입의 유의미성을 언급할 수 있다. 슈타인도 언급했듯이 감정이입을 통해 의사는 환자의 고통과 슬픔, 불안감과 같은 내면적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라면, 환자를 이해하는 의사 자신이 환자에게로 감정이입하면서 감정이입이 된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되돌아 볼 수 있다는 측면에 또 하나의 목표를 둔다. 그런 한에서 의사는 감정이입을 통해 상호 인격적 체험을 하며 자기 인식, 자기 성찰과 관계성을 촉진함으로써 상호간의 간극이 해소될 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의사-환자의 인격적 관계는 가능해지리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crisis of modern medicine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that mutual 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as a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n, how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sons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 overcome, and how do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build trusting relationship? It is thought that empathy can play a part in that. Of course, a doctor can comfort his or her patient directly through sympathy but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patient's expression or mind, that is, the inner world of the patient. With sympathy, one can comfort the other, but with empathy,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other person's loneliness and suffering, and there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s explored. Thus,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 while sympathy of a doctor for his or her patient may lead to pity and a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may occur, empathy allows a doctor to understand the patient's situation, thereby enabling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he significance of empathy can also be empathized in patient-doctor relationship through empathy in that as the patient can be understood as a personal subject, the doctor, in turn, can objectively understand the person who is the doctor himself by empathizing with the patient. In other words, a personal relationship can be formed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hat we are constantly referring to. As mentioned by Stein, empathy allows a doctor to understand the inner world of the patient such as pain, sadness and anxiety, and the doctor himself who understands the patient objectively looks back at the empathetic doctor himself as he empathizes with the patient. With that knowledge,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become possible as the gap between the two is resolved when empathy allows them to experience each other personally, thus facilitating their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a deepene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