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癡癡菴日錄』으로 본 강릉 鄕校와 科擧의 운영실태 (The status of operation of Gangneung Hanggyo and Gwageo seeing as the 『Chichiamilrok』 of the late Chos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癡癡菴日錄』으로 본 강릉 鄕校와 科擧의 운영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53호 / 199 ~ 228페이지
    · 저자명 : 이규대

    초록

    이 논문은 1791년부터 4년간 작성된『癡癡菴日錄』을 통해 향교와 과거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치치암일록』은 강릉지방 유생 金玄昊가 쓴 일기이며, 일기는 1791년 정월부터 1794년 6월까지 작성되었다.
    이 시기 향교 士林齋會는 향교 운영을 위한 회의체였다. 이 회의체는 향교의 공공성에 힘입어 일향의 대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향교의 실무운영은 都有司 중심의 직임체제가 조직되어 운영되었으며, 직임조직의 발의로 사림재회가 소집될 수 있었다. 이 시기 사림재회는 향교 운영 전반사를 관장하면서 석전제를 비롯한 각종 제의에 비중을 두는 성향을 보였으며, 수령은 향교의 흥학책에 비중을 두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령의 흥학책으로 白場과 旬題의 시행이 두드러졌다. 백장과 十抄백장, 순제와 십초순제로 구분되는 課藝는 연중 시행되었고, 십초백장은 陞庠例로서 운영되었고, 십초순제는 그 학습과정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과예의 시제와 형식은 詩題와 賦題 중심이었고, 그 내용은 經書를 전범으로 하는 시․부 同題의 사례가 많았으나 시제를 위해 押韻이 제시되고 있었다.
    일기에서 파악되는 科試는 식년시 初試와 賓興科였다. 향시가 엄정한 인재선발의 성격을 가졌다면, 빈흥과는 인재등용의 지역균형을 명분으로 하는 과시로서 응시생들에 대한 각종 배려가 두드러지는 성격을 보였다. 특히 이 지방의 명가인 오죽헌가의 後承들에 대한 배려가 돋보였다.
    두 가지 유형의 과시에서 科擧節目과 시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절목에서는 試紙 제출 시각, 自述, 自書를 원칙으로 하며, 시지의 출제 전범은 經書 위주로 순정한 고풍의 문체를 지향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다만 빈흥과에서 지방의 역사지리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었다는 특성을 보이며, 응시 유생들의 일체의 경비는 출신지 관에서 지급되었다. 이번 과시는 빈흥과 함께 정조의 經義條問과 유생들의 條對가 돋보였다. 이것은 군주의 학문성향의 반영이요, 향후 학문의 동향을 전망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파장 효과가 기대되는 것으로 빈흥과 함께 그 주요 의미가 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는 1년 전에 釋菜魚脯의 감축안으로 인해 지방 유생들의 고초를 위무하는 사회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영어초록

    『Chichiamilrok』 is a diary of Kimhyeonho. It was writed for four years from 1791 year. He was a student of confucianism. This thesis used a diary to understand operating status of Hyanggyo and Gwageo exam. Sarimjeahe was the main group for operating state of Hyanggyo in 18 century lately. The central figure of the organization for Gangneung Hyanggyothe. is Doyousa. He called a Sarimjeahe.
    Sarimjeahe took charge of education and memorial services of Hyanggyo in this time. But they putted the specific gravity of memorial services than education. Above all they thought the force of a district in the dignity of memorial services.
    It was enforced as usual a test like Bakjang and Sunje in this time. It was managed Bakjang of ten times in Seungsangre that Sunje was a training process of Bakjang of ten times. The local minister supervised this test. It attended a confucian studying of Hyanggyo and Seowon. The test questions were given i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books. The test forms were Sije and Buje. A side effects like a surrogate exam-taking happened while a test was emphasized.
    A confucian students got imformation of Gwageo from Hyanggyo and Hyangcheong. Rul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The test forms were Sije․Buje and Pyoje. This rules and formality were to repair the problem of the test. The Gwageo examinations expressed in the dairy were Hyangsi and Binheunggwa. Hyangsi had the character of the man of ability starting in advance done the rigor. Binheunggwa was to develop the local balance of the selection of fit people for higher positions. The care of the participants stood out in this examination specially.
    Two types of the Gwageo examination had similarity in the test rules and formality. Thats were the examination paper time to submission, to compose by oneself, to write by oneself etc. The basis of the test question was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These forms was going to develop an antique stile. Only, it was taken Gangwon-do’s history and geographical features in the Oebangbyrsi. And the expense for examination was paid by confucian students at the office. These ones embraced the local confucian students, and had the meaning pacified the event of one year a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