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성인의 암 수검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Adults: A Literature Review)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0.12
10P 미리보기
한국 성인의 암 수검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10권 / 4호 / 185 ~ 194페이지
    · 저자명 : 정영일, 김홍수, 최대성

    초록

    연구배경: 암 수검을 통한 암의 조기 발견이 가능하나 우리나라의 암 수검률은 여전히 최선의 수준에 이르지 못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한국 성인의 암 수검 요인을 살펴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이들의 연구 설계 및 유의한 것으로 보고된 암 수검관련 요인들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선행 연구의 검색을 위해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KISS), 보건연구정보센터(RICH), 국회전자도서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였다. 검색된 21편의 논문에 대해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과 이론적 틀을 확인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능 요인’, ‘건강행태 요인(행동요인, 신념요인)’으로 나누어 이 연구들이 보고한 요인들과 암 수검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결과: 검색된 총 21편의 선행 연구의 대부분은 단면연구였고, 이론적 틀을 적용한 논문은 8편뿐이었다. 모든 논문에서 암 수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포함하였으나 대부분이 유의하지 않거나 일치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가능 요인을 보고한 논문은 매우 적었으며, 건강행동 요인 중 인식이나 신념관련 변수들은 유의한 경우가 많았다.
    결론: 이론적 틀에 기반한 암 수검 관련 요인들에 대한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인식과 신념 및 암 수검의 접근성과 관련된 가능 요인들에 대한 종단적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Cancer screening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cancer, but the screening rate in Korea is still suboptim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adult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major medical and health-related databases (DBpia, KISS, RICH,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and Pubmed) with a set of selected key words, as well a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of 21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were found. The factors reported in the review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socio-demographic, enabling,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to cancer screening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Results: Most of the published studies were cross-sectional studies, and only eight studies adopted a theoretical framework. All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ancer screening,and most studies reported that these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ealth beliefs or perception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although the number of relevant studies making this observation was small. Only three studies examined enabling factors.
    Conclusions: More studie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are needed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In particular,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al and enabling factors on cancer screening should be examined fur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