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궐련 흡연이 폐암과 후두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igarette Smoking on the Incidence of Lung and Laryngeal Cancer)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4.06
7P 미리보기
궐련 흡연이 폐암과 후두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금연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금연학회지 / 15권 / 2호 / 42 ~ 48페이지
    · 저자명 : 김희진, 김소영, 양연수, 정금지, 이선미, 지선하

    초록

    연구배경: 궐련 흡연은 폐암과 후두암 발생에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어왔지만, 세포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연구는 드물다. 이에 연구팀은 전향적 코호트 분석으로 흡연과 소세포폐암, 폐 편평세포암종, 폐 샘암종, 후두 편평세포암종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 18개 건강검진센터에 검진목적으로 방문한 159,844명의 대상자로 구축된 전향적 코호트인 한국인 암 예방 연구(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 KCPS)-II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암과 만성질환 발생은 국립암센터 암등록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연계하여 확인하였다. 흡연량, 흡연 기간 결측 사례를 제외하고 최종 대상자는 141,679명이었다. 성, 연령, 음주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비흡연자 대비 흡연자의 흡연 기간과 흡연갑년에 따라 폐암과 후두암의 조직학적 유형별 비교위험도(relative risk, RR)를 Cox 비례위험모형으로 산출하고, 기여위험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최종 분석 대상자 141,679명의 평균 추적 기간은 12.9년 (표준편차 1.6)이었고, 총 인년 (person-year)의 합은 1,827,451인년이었다. 연구대상의 현재 흡연자 중에서 흡연 기간이 30년 미만이고 20년갑년 이상인 현재 흡연자는 19.7%였고, 흡연 기간이 30년이상이고 20년갑년 이상인 현재 흡연자는 9.4%였다. 전체 대상자 중, 폐암 발생수는 741명이었고, 10만 인년당 발생률은 42.8명이었다. 폐암을 조직학적 분류로 나눈 결과 소세포폐암 43명, 폐 편평세포암종 133명, 폐 샘암종 489명, 그리고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종은 45명 이었다. 비흡연자 대비 흡연기간 30년 이상이면서 20갑년 이상인 현재 흡연자의 암 발생 비교위험도는 소세포 폐암 41.2배(95% 신뢰구간, 5.5-310), 폐 편평세포암종 28.4배(95% 신뢰구간, 11.4-70.9), 폐 샘암종 4.4배 (95% 신뢰구간, 2.9-6.8), 그리고 후두 편평세포암종은 6.8배 (95% 신뢰구간, 2.2-21.2)였다. 이들 흡연자에서 암 발생의 기여위험도는 소세포 폐암 97.5%, 폐 편평세포암종 96.4%, 폐 샘암종 77.2%, 후두 편평세포암종 85.3%였다.


    결론: 이 연구는 흡연은 폐암 발생의 강력한 위험요인이라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특히 소세포 폐암과 폐 편평상피세포암종은 흡연의 기여도가 96%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Smoking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substantial risk factor for lung and laryngeal cancer; however, research on their histological classification remains scarce. Therefore, our research team conducted a prospective 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incidence of small cell lung carcinoma,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lung adenocarcinoma, and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a prospective cohort of 159,844 participants included in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who visited 18 nationwide health examination centers for screening purposes from 2004 to 2013. Incidence of cancer and chronic disease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was confirmed by linking their data with those published in the National Cancer Center registry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fter excluding cases with missing smoking duration and pack-years, the final cohort comprised 141,679 individual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adjusting for sex, age, and alcohol consumption, relative risks for lung and laryngeal cancer according to histological subtype were calculated based on smoking duration and pack-years, along with attributable risks.


    Results: Mean follow-up period for the 141,679 participants was 12.9 years (standard deviation 1.6), accumulating a total of 1,827,451 person-years. Among current smokers, 19.7% had smoked for less than 30 years with at least 20 pack-years, whereas 9.4% had smoked for 30 years or more with at least 20 pack-years. Among all the participants, 741 developed lung cancer, with an incidence rate of 42.8 per 100,000 person-years. Histological subtypes included small cell lung carcinoma (43 cases), pulmonary squamous cell carcinoma (133 cases), pulmonary adenocarcinoma (489 cases), and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45 cases). The relative risk of incident cancer among current smokers who had smoked for over 30 years with more than 20 pack-years was 41.2 (95% CI, 5.5-310), 28.4 (95% CI, 11.4-70.9), 4.4 (95% CI, 2.9-6.8), and 6.8 (95% CI, 2.2-21.2) times greater among those with small cell lung cancer, pulmonary squamous cell carcinoma, pulmonary adenocarcinoma, and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respectively, than among never smokers. Their attributable risks for cancer incidence were 97.5%, 96.4%, 77.2%, and 85.3%,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smoking is a potent risk factor for lung cancer incidence, specifically for small cell lung cancer and pulmonary squamous cell carcinoma, wherein smoking contributes to over 96% of the ri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