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 (The Experience of Cancer Survivor's Return to Everyday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0.05
10P 미리보기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21권 / 5호 / 327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선영

    초록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의 이해를 통해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와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암 치료 후 5년이 경과되어 완치 판정을 받은 19명을 암 생존자 환우회 및 인터넷 카페에 연구목적과 방법을 공지하여 모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18일부터 2월 25일까지로 심층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이론적 표출을 시도하였다. 1회 면담 시간은 90분에서 12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인터뷰 이후 불충분한 내용은 추가 면담을 통해 내용을 확인 받았다. 면담 횟수는 1∼3회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복귀 경험은 ‘고달픈 현실’, ‘육체적 소진’, ‘심리적 소진’, ‘경제적 소진’이라는 인과적 조건으로 인해 ‘벗어날 수 없는 현실’, ‘내일을 알 수 없는 불확실한 현실’이라는 중심현상이 발견되었다. ‘가족의 지지부족’, ‘노동 취약계층으로의 이동’, ‘미비한 지원시스템’, ‘사회적 지원체계 희망’, ‘위축된 성’, ‘암/암환자에 대한 편견’, ‘찾기 힘든 완치 이후 삶에 대한 정보’ 등의 맥락적 조건에 따라 ‘적극적 건강관리’, ‘긍정적 경험’, ‘절대적 존재에 의지하기’ 전략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략 수행 과정은 중재적 조건인 ‘든든한 울타리’, ‘효과적인 암보험’의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는 ‘새로운 삶 구축하기’ 또는 ‘견디기’로 나타났다. 암 생존자의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서는 일상생활 복귀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과 관련된 포괄적인 정보 제공 및 보건·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며, 향후 암 생존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시 암 생존자의 요구를 반영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ways that enable a successful comeback to everyday life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cancer survivors in returning to everyday life. Totally, 19 people diagnosed with complete cure after 5 years of cancer treatment,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18 to February 25, 2017. One-time interviews took 90 to 120 minutes, and data analysis was achiev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The central phenomenon of 'reality that cannot be escaped' and 'uncertain reality that cannot know tomorrow' was attributed to the causal conditions 'hard reality', 'physical exhaustion',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economic exhaustion'. Depending on context conditions such as 'lack of family support', 'shift to a vulnerable working class', 'insufficient support system', 'hope for the societal support system', 'daunted gender', 'prejudice against cancer/cancer patients', 'information on life after rare full healing'. The strategy for a successful return was influenced by intervention conditions such as 'robust family fence' and 'effective cancer insurance', which resulted in 'building a new life' or 'enduring'. We conclude that for a successful return to daily lives, cancer survivors require comprehensive information, health and social-welfare interven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