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月巖 李匡呂의 실심실학 (The Practical Learning of the sincere mind&heart in Lee Kuanglyee’s[李匡呂] Philosoph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3.12
35P 미리보기
月巖 李匡呂의 실심실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6호 / 157 ~ 191페이지
    · 저자명 : 정인재

    초록

    이 글은 최근에 발견된 이참봉집 필사본을 근거로 그의 실심실학 사상을 살펴보려고 하는데 있다. 원래 간행된 목판본은 시문을 위주로 편집되어 있는데 필사본에는 실심과 양명학의 철학이 담긴 잡저와 어록이 있다. 양본이 합쳐져야 완성본이 되었을 것이다. 월암 이광사는 원교 이광사를 스승으로 삼아 공부하였다. 그 학통은 하곡을 계승한 이광신, 이광사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의 학문은 정동유 이충익 등으로 이어지고 이들은 외화보다도 내실을 중시하였다. 그는 백성에 대한 사랑이 충만하여 구황식품으로 고구마 재배에 열성을 보였으며 벽돌 굽는 방법을 중국에서 도입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여 백성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것이야 말로 실심으로 실학을 한 좋은 본보기이기도 하다.
    그의 학문은 주자학만 정통으로 삼던 시대에 이단으로 간주된 노자나 왕양명의 철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노자를 읽은 다섯 가지 규칙」[讀老子五則]에서 기존의 본체론 형이상학의 입장에서 도를 해석하는 방식과 달리 끊임없이 작용하는 현실[實]의 길[道路]을 가지고 말하였다. 도는 언제나 변화하는 작용 가운데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이름 붙여 개념화 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사실[實]의 상도(常道)와 개념의 가도(可道)를 구분하여 논하였다. 현실의 사물은 아무런 이름이 없는 데도 존재한다. 천지만물의 유무는 개념상의 유명과 무명일 뿐이라고 하여 유명논자로 노자를 그리고 있다. 그는 유무(有無) 난이(難易) 장단(長短) 고하(高下) 음성(音聲) 전후(前後)는 모두 이름[名]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후세에 명실이 분리되어 도가 언어에 의하여 왜곡되고 언어는 개념만이 남아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그는 미생고의 예를 들어 정직을 정직으로 아는 순간 정직하지 못하게 된다는 논리를 펼치면서 미생고가 정직이라는 이름[名] 때문에 오히려 정직을 해치고 정직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이름 뒤에 숨어있는 사실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그는 실심을 논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는 학문하는 태도를 남을 따라가는 외적인데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득하는 것에 있다고 하면서 하는 일마다 자신을 돌이켜 보고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것은 바로 양지의 특성이기도 하다. 그는 학문하는 목표는 바로 성인이 되겠다는 것인데 실심으로 실천을 하여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심은 본심(本心)및 양지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그는 왕양명의 양지설을 적극적으로 변호하기도 하였으며 왕양명을 주자와 동급으로 올려 양명자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그는 양지를 본연의 지각(知覺)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이목구비의 감각기관과 본연의 마음의 마음을 대비적으로 논하기도 하였다. 감각기관의 작용은 마음의 올바름[正]을 따라가면 이치를 얻는데 욕심을 따라가면 외물에 의하여 본심이 가려져서 마음이 자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그는 올바름이 마음의 본체라고 하였다 이것을 본심 혹은 실심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것은 감각적 경험으로 얻어지는 습심에 대비하여 사용한 것이기도 하다 배움에 힘을 얻는 것은 습심을 제거하는데 있다고 하면서 실심을 강조하였다 .실심으로 자기반성을 하라고 하였다.

    영어초록

    I would like to survey the ‘sincere mind&heart[實心]’ of Lee Kuanglyee[李匡呂] according to the manuscript version which discovered recently in this article. This version contains many essays on Yangming Learning and Five rules to read Laozi[老 子] etc. While there are two parts which consisted poetry and literary writing only in he original version. I think the two versions were one originally but manuscript version did not accepted by the editors of his time.
    The Lee Kuanglyee learned from the Lee Kuangsa[李匡師] etc. who succeeded the thought of Hagok[霞谷] and handed down his thought to the Chung Dongyou[鄭 東愈] LeeChungyik[李忠翊] etc. He loved the people very much and thaught them the method of rising sweet potato and of making bricks.
    He interested in the heterodox school such as Laozi and Yangming Learing in the age of orthodox Zhxism. He interpreted the Tao of Laozi as the road in the ordinary way instead of abstract and metaphysical vision in his article of five rules to read Laozi He thought the Tao manifested Itself always in the changing real situation which could not catch up by the name of the Tao. The Tao divided into two realm that was the constant real Tao[常道] and the named conceptual Tao[可道].
    He thought real Tao was faded away from the ordinary way of life and dominated the named Tao in the language. He pointed out Misaengko’s righteousness as the example of hypocrite.
    How to find out hidden reality in the ordinary life? He taught us the ‘sincere mind&heart[實心]’ which comprehend the reality without any prejudice. He mentioned the function of mind&heart which could think deeply and sense organ which could be attracted by the outer things easily. He insisted that when we got the righteousness[正] of mind&heart which was called ‘original mind&heart[本心]’ or ‘mind&heart itself[心之本體]’ then the sense organ which leaded to private desire could not interfere the function of mind&heart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