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Seokkuram as a Heavenly Pala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4.05
44P 미리보기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3호 / 84 ~ 127페이지
    · 저자명 : 남동신

    초록

    이 글은 석굴암이 지상의 인간이 아니라 천상의 초월적 존재를 위한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육하원칙에 따라 석굴암의 유일무이함을 분석하였다. 방법론상 석굴암에 대하여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료인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근거하여, 누가, 언제, 어디서, 왜, 그리고 무엇을 창건하고자 하였는가를 논증하며, 마지막으로 ‘천궁’을 중심 개념으로 삼아 석굴암의 성격과 몇 가지 특징을 새롭게 조명한다.

    영어초록

    Seokkuram (Sǒkkuram石窟庵), located on the eastern summit of Mt. Toham near Gyeongju, is a Buddhist shrine in the form of a stone grotto, absolutely unique in East Asian history. The author, viewing Seokkuram not as human-centered but rather a spiritual space, analyzes its uniqueness in light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who, what, where, why, when, and how. Methodologically, the paper reinterprets the oldest surviving document concerning Seokkuram found in the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from a fresh perspective, and thereby seeks to adduce a new paradigm for research on Seokkuram.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Seokkuram, the factual basis of some of the basic questions have already been adequately answered: “who”—Prime Minister Kim Daeseong; “when” the mid-8th century; “where”—in Gyeongju on the eastern summit of Mt. Toham. The first chapter surveys the results of past scholarship, supplementing them in places with the author’s personal views. Continuing with a discussion of the question of "why", the author analyzes in depth the phrase: “. . . construct [this] stone Buddhist shrine for [my] departed parents of [a] former generation.” That is, the author notes that the conceptual basis underlying the establishment of Seokkuram incorporated a union of a concern for public good (功德思想) blended with that of filial piety (孝). While such a union had a precedent in Indian Buddhism, the author points out that it was further strengthened within Chinese Buddhism. Accordingly it may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Chinese adaptation of Buddhism.
    This work places greatest emphasis on Chapter 2, in which the issue of “what was this entity we know as Seokkuram?” is addressed. In fact, the name of Seokkuram (石窟庵 ) and its prior version, Seokpulsa (Sǒkpulsa石佛寺), are merely superficial appellations, but up to the present there has been almost no discussion of their true nature or character. The author accords strong significance to a reference to “heavenly palace” (天宮) found in a document on Buddhist religious teachings, deriving from the first chief monk of Seokpulsa, and sets forth his view that Seokkuram was created by Kim Daeseong as a spiritual space, more specifically as a heavenly palace in which dwelled Indra, ruler of the Trāyastriṃśa, or Thirty-three Heavens.
    Last, Chapter 3 concerns itself with ‘how’. Using “heavenly palace” as a central conceptual paradigm, the paper examines the special features of Seokkuram: its location on a mountaintop over a sacred spring, its orientation, its use of stones, and the rotunda of the domed roof. Using these features—which prior scholarship either did not notice, misunderstood, or discussed only partially—a reinterpretation is provided and thereby, at last, it may be said that Seokkuram in its original form is recovered, as created by Kim Daeseong to be in full accord with the countenance of a heavenly pa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