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극작가 오태영 희곡의 검열과 개작 -희곡 「난조유사」와 개작본 「임금알」을 중심으로 (The Censorship and Adaptation of Playwright Oh Tae-young's Plays -Focusing on the Original 「Nanjoyusa」 and the Adapted Version of 「The King's Egg」)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06
45P 미리보기
극작가 오태영 희곡의 검열과 개작 -희곡 「난조유사」와 개작본 「임금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2호 / 119 ~ 163페이지
    · 저자명 : 홍창수

    초록

    이 논문은 극작가 오태영의 희곡 「난조유사(卵朝遺事)」와 개작 공연본 「임금알」 을 중심으로 검열과 개작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원작과 개작본의 차이를 분석하되, 관련 자료들을 통해 작가가 검열을 받는 피검열의 상황과 과정, 검열에 대응하는행동과 방식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한국 현대 희곡사와 연극사에서 제대로평가받지 못했던 작품들의 의의를 되새겨보았다. 「난조유사」는 알에서 태어난 박혁거세 같은 시조의 건국신화를 극의 모티브로 가져와 세속적 현실에서 건국신화를 재현하려는 희극성이 강한 드라마다. 공륜에 의한 「난조유사」의 공연 금지는 박정희 유신정권의 문화정책, 즉 ‘공연윤리강령’에 나타난 민족주의와 전통문화예술옹호의 논리에 근거한 것으로서 공륜이 권위주의적이고 경직된 사고방식과, 정치권력의 관점에서 자의적이며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작품을 폄하하였다. 오태영의검열 불복 행위는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연극계에서 가시화되던 검열 전선의 한사례였는데, 「난조유사」의 공연을 진행하는 대한민국연극제의 집행위원회는 말할것도 없고 제도권에 있던 연극계의 기성세력도 「난조유사」의 공연 금지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젊은 신인작가 오태영만이 검열의 피해자로 남았다.
    오태영은 1980년대 전두환 정권에서 검열을 통과하고 공연을 성사시키기 위해이중의 전략을 짜서 극단 76과 함께 실행했다. 그는 검열당국을 속이기 위한 심의용 대본과 실제로 공연할 공연용 대본을 만들었다. 공연본 「임금알」은 왕에 대한풍자와 숭고의 미의식이 충돌하는 「난조유사」의 결함을 없애고 왕과 왕위의 정통성에 대한 풍자를 강조함으로써 당시 독재 정치에 대한 풍자와 알레고리의 세계를 선명하게 구축하였다. 그리고 원작과는 달리, 「임금알」은 4명의 코러스를 다채롭게활용하여 극의 재미와 활력을 부여했고 관객과 소통하는 개방 구조의 특성을 지녔다. 특히 관객이 시위에 동참하는 결말 장면은 정권의 통제와 억압에 짓눌렸던 분노를 표출시키는 계기를 제공했다. 1970년대 중반에 공연 금지당했던 「난조유사」 와 1985년에 공연되었으나 공연에 대한 외부의 압력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임금알」은 작가 오태영의 작가 생애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겠지만, 한국현대 희곡사와 연극사에서도 중요하게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ensorship and adaptation, focusing on the plays 「Nanjoyusa」 and 「The King's Egg」 by playwright Oh Tae-young.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daptation, we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those plays that were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lays and theater history by analyzing the situation and process of censorship, and the way he acted against censorship. 「Nanjoyusa」 is a comic drama that attempts to recreate the founding myth in secular reality by bringing the founding myth of the founder like Park Hyuk-geose, who was born from an egg, as the motif of the play. The ban on the performance of 「Nanjoyusa」 by Performing Arts Ethics Committee(‘Kong-ryun’) was based on the cultural policies of the Park Chung-hee Yushin regime, the logic of nationalism an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Kong-ryun belittled the plays arbitrarily and negatively from authoritarian and very rigid way of thinking, and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ower. Oh Tae-young's censorship disobedience was an example of a censorship front that became visible in the theater circles in the 1970s. Not onl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Korean Theater Festival, which hosted the performance of 「Nanjoyusa」, and theatre circles at that time kept silent about The ban on the performance of 「Nanjoyusa」. Only young new writer Oh Tae-young remained a lonely victim of censorship.
    In order to pass censorship under Chun Doo-hwan's regime in the mid-1980s, Oh Tae-young implemented a double strategy with the theater company 76. He created two script: a script for deliberation to deceive the censorship authorities and a script for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The performance version of 「The King's Egg」 clearly established the world of satire and allegory of dictatorship at the time by eliminating the flaws in 「 Nanjoyusa」, where satire and sublimity, that is two aspects of aesthetic consciousness on the king, coexists. And unlike the original, 「The King's Egg」 used the four actors like Ancient Greece chorus in a variety of ways to give the play fun and vitality,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pen structure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particular, the ending scene in which the audience joined the protes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ress anger that had been weighed down by the regime's control and oppression. 「Nanjoyusa」, which was banned from performing in the mid-1970s, and 「The King's Egg」, which was not noticed due to external pressure on the performance, will be important in writer Oh Tae-young's career, but it should also be more important in Korean modern drama and theater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