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8~1994년 북한방문기와 대북관: 북한바로알기운동~김일성 사망 (Travel Report of North Korea in 1988~1994 and Perspective of North Korea: Knowing North Korea Right Movement~The Death of Il-sung Kim)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12
39P 미리보기
1988~1994년 북한방문기와 대북관: 북한바로알기운동~김일성 사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4호 / 325 ~ 363페이지
    · 저자명 : 이행선

    초록

    이 글은 1980년대 후반 북한바로알기운동 무렵부터 1994년 김일성 사망까지 북한방문기의 출현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국제적으로 이념 갈등이 완화되고 화해의 분위기가 국내의 민주화 그리고 통일 열망과 맞물리면서 당대 대중운동의 이념과 계몽의 시선이 통일을 향했다. 주체사상 관련 각종 사상서와 이론서, 북한 관계 개설서, 통일 관련 자료집, 북한의 문예작품 등 다양한 출판물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오래도록 반공분단체제에서 편향적이고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연구 성과는 그 양과 별개로 신뢰하기 힘들었다. 이러한 때에 기존 북한체제 인식에 대한 괄목할 만한 최초의 도전은 북한을 다녀온 재미동포들의 북한방문기였다. 1970년대 후반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이 북한, 쿠바, 알바니아, 베트남 등 미국시민이 방문할 수 없었던 나라를 허용하면서 1980년부터 미국 교포가 북한을 방문하게 되었고, 한국에서도 7․7선언(1988)으로 해외동포 방북이 허용되었다. 북한방문기의 출현은 북한의 현실과 문화, 역사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욕망의 사회적 발현이자 통일을 위한 기본 토대의 구축과정이었다. 새삼스럽게 북한을 객관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기존 북한관의 전환을 의미했다. 당시 국내외적 상황은 냉전시대의 관성으로 내면화된 반통일적 의식과 정서를 정화하고 재조정해야 하는 전환기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방문기의 출현과 그 의미’를 대북관과 관련해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emergence and meaning of the visit to North Korea from the time of the North Korea Righteous Movement in the late 1980s to the death of Il-sung Kim in 1994. As the ideological conflict eased internationally and the mood of reconciliation coincided with the desire for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at home, the ideology and enlightenment of the popular movement of the time were directed toward unification. Various publications, including various thought and theory books related to Self-reliance ideology, North Korea's opening of relations, a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unification, and North Korea's literary works, came out. However, long-standing, biased and limited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anti-Communist system have been hard to trust apart from the amount. At this time, the first remarkable challenge to the recognition of the existing North Korean regime was the visit of Korean-Americans to the North. In the late 1970s, U.S. President Jimmy Carter allowed U.S. citizens to visit North Korea, Cuba, Albania, Vietnam where U.S. citizens could not visit, allowing Korean-Americans from the U.S. to visit North Korea from 1980 and South Korea to visit the North with the July 7th Declaration (1988). The emergence of the record of visit to North Korea was a social manifestation of the desire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 reality, culture and history of the North and a process of establishing a basic foundation for reunification.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meant a shift in the existing view of North Korea. The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at that time was a turning point in which anti-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sentiment, internalized by inertia of the Cold War era, had to be purified and readjusted. In this context, I seek to figure out about the ‘appearance of travel report of North Korea and its meaning’ in relation to the view on Nor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