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제프 알버스의 재료 이해와 지각의 방법론 - 예비과정에서 공작수업까지 (Josef Albers's Material Study on Sensory Perception From Preliminary Course to Basic Design Cours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2
42P 미리보기
요제프 알버스의 재료 이해와 지각의 방법론 - 예비과정에서 공작수업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6권 / 75 ~ 116페이지
    · 저자명 : 조새미

    초록

    본고는 요제프 알버스(1888-1976)가 1923년부터 1933년까지 교육하였던 독일 바우하우스의 예비과정과 1933년부터 1949년까지 재직하였던 미국 블랙마운틴칼리지에서의 공작수업을 살핌으로써 알버스의 재료 이해를 통한 지각의 방법론에 영향을 준 요인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이는 어떻게 진행, 변화되었는지 논의한다. 그리고 알버스의 지각의 방법론이 어떤 교육적 영향을 발생시켰는지 그 한계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동시대에 어떤 유의미한 논의를 발생시킬 수 있는지 고찰한다.
    유물사관에 입각한 구축적이며 객관적인 재료 분석을 토대로 알버스는 존 듀이의 미국 경험주의 이론을 흡수시켜 블랙마운틴칼리지의 수업체계를 구축했다. 알버스는 독일 바우하우스 예비과정으로부터 재료의 경제성과 단순함을 강조하면서 재료의 물리적 한계를 실험하는 객관적인 접근 방법을 블랙마운틴칼리지의 공작수업에도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 존 듀이의 철학의 영향을 더해 재료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여 지각에 이르는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블랙마운틴칼리지에서의 이와 같은 알버스의 방법론은 학생들의 비평적 능력 배양에 큰 역할을 했으며 1950년대 이후 루스 아사와, 로버트 라우젠버그, 레이 존슨과 같은 미국 아방가르드 미술을 이끌었던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알버스의 교육은 물질적 생산성의 수준을 높이는 원동력으로서의 미술에도, 개인 작가의 표현을 목표 삼는 표현주의 미술에도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재료를 매체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이는 이원론으로 구분되어 있는 동시대 미술 교육의 장르적 체계를 다시 환원시켜 재고할 때 주요한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알버스의 교육은 인간과 물질과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성찰의 한 예를 다루고 있으며, 물질에 대한 인간의 윤리적 태도와 그 실천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내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와 같은 알버스의 지각의 방법론이 동시대 조형예술 교육을 위한 하나의 모델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본고는 알버스의 재료 실험과 교육의 면면을 살핌으로서 논증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material studies related to the pedagogy of Josef Albers who was one of the key figures of 20th century modernism. Albers was an influential educator for both the Bauhaus preliminary course (Vorkurs) and Black Mountain College, Black Mountain, North Carolina. Focusing on Albers's understanding of material, this thesis explores his pedagogical development from 1923 to 1949.
    Emphasizing the simplicity and efficiency of a material's capacity, Albers's approach was based on a rather scientific method. On the other hand, Albers's pedagogy merged with American Pragmatism influenced by John Dewey's philosophy. It was Dewey’s theory on interaction and inter-penetration that effected the formation of Albers's understanding not only of color but also of material. And it was also Dewey's philosophy that led Albers to develope a theory on the difference between recognition and perception related to understanding material.
    Antithetically, this methodology became critically effective in incubating young American avant-guard artists in the 1950's and 1960's. Although Albers did not intended his pedagogy to produce professional artists, it was Ruth Asawa, Robert Rauschenberg, Ray Johnson who all became leading figures of mid century American art. It is also important to notice that Albers's pedagogy offered a foundation for these young artists to understand materials as a kind medium that stands between two other things and, thus, something that may transmit from one thing to another for a means of communication. Categorizing art neither for productivity nor self-expression, Albers's pedagogy i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us to reconsider what art education should aim for today.
    Thus, it is important to reinterpret Albers's pedagogy not only to re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and man, but also to create a critical discourse to connect art to ethics as well. This paper anticipate to offer an opportunity to assist in revising the system of plastic art education today with the purpose of connecting practice and theory once ag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