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년화자 서사에 나타난 성장과 ‘힘’의 의미 -≪장난감 도시≫,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s of Growth and Power in Narratives by Boy Narrators: Focused on The House with a Deep Yard, A Toy City,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4
29P 미리보기
소년화자 서사에 나타난 성장과 ‘힘’의 의미 -≪장난감 도시≫,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71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이 연구는 소년서사에 나타난 성장의 의미를 ‘힘’과 ‘폭력’의 관점에서 살펴본 글이다. 대상 작품은 ≪장난감 도시≫,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마 당 깊은 집≫으로서 이들 작품은 한국전쟁 직후, 정신적·물질적 결핍의 고통이 심 했던 주인공 소년들의 성장담이라 할 수 있다.
    ≪장난감 도시≫의 주인공 ‘나’(윤)는 판자촌의 다양한 폭력을 발견하며 자신의 삶을 결정하는 인물이다. 폭력의 피해자 또는 가해자가 되는 이중적 모습 속에서 어른들의 폭력과 소년들의 폭력이 전후의 일상적 삶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어른들의 폭력은 경제적 이해관계에 의해서, ‘나’와 소년들의 폭력은 불안, 광기에 의해서 자행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 작품에 나타난 폭력은 고향의 상실감과 가 족의 해체에 직면하기까지 소년의 삶 속에 깃든 비애와 허무, 좌절감, 광기를 반 하면서 이러한 삶을 스스로 벗어나도록 이끌고 있다.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에서는 폭력보다 ‘힘’과 ‘권력’의 양상으로 드러난다. 이 작품에 나타난 ‘힘’은 원초적, 신화적 ‘힘’이라 할 수 있는데 신화적 ‘힘’의 몰락은 근대성의 위력과 맞물려 있다. ‘나’(형석)는 삼손의 ‘힘’을 조롱거리 로 변질시키는 장터 사람들, 좌익경향의 사람들이 제거되는 상황을 목도하면서 어 른들의 삶을 엿보게 된다. 그의 거울체험, 미로체험 등도 세계는 대상을 진실대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즉 세계의 전도 가능성을 인식한다. 그러나 탐색자로 서의 성향이 강한 ‘나’의 태도가 아우보다 미온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권력이나 이데올로기에 대해서이다.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그의 태도는 정확히 그려져 있 지 않은 아버지의 부재 원인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살펴본 ≪마당 깊은 집≫에서도 회상체 성장담의 특징이 드러난다. 이 작품에 나타난 ‘힘’은 앞서 본 두 작품과 달리 ‘나’(길남)가 노동의 신성함에 눈을 뜨는 계기로 작용한다. 월남인 주 씨의 ‘힘’은 아버지 없는 장남의 입장에서 그려볼 수 있는 모범적인 남성상이라 할 수 있다. 성실과 근면의 상징인 주 씨의 힘쓰기는 전후 사회에서 주력한 경제발전 이데올로기와 동궤에 놓여 있다. 억척스 러운 삶의 자세를 지닌 어머니 밑에서 장남으로서의 책임감을 지니도록 훈육 받 는 ‘나’에게 올바른 힘이란 생명력 강한 노동의 의미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년들의 성장에 강하게 나타난 ‘힘’을 통하여 6·25 전쟁과 전후 사회를 통과한 남성 작가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growth among boy protagonists that suffered the severe pain of mental and material deficiency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rough the literary reproduction of “power” in The House with a Deep Yard, A Toy City, and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These three works show the ways that the growth of a boy is embodied by depicting the way of the world or the disharmony of life through a boy narrator. Here, “power” is the object that governs the consciousness of boys, specifying their daily life in poverty and thus becoming a symbol of the achievement and frustration of their dreams and hopes. These novels are all notable works as they depict the background of the post-war society and the auther’s personal experiences.
    In In A Toy City , “I(Yun)” am from the family of displaced people. As a boy, I fail to adjust to the inferior living environment of the shantytown where the family has settled down anew and eventually witness the destruction of my family. The main character “I” discover violence of various patterns in the shantytown or get involved in violence himself, showing the truth of boys’ violence committed in parallel to that of grown-ups. Violence in post-war society works according to economic interests or is revealed through anxiety and madness like in the organized violence of “I” and boys.
    A Fisherman Does Not Snap the Reed shows the patterns of “strength” and “power” rather than violence. The main character “I” witness people degenerating Samson’s “strength” into an object of mockery at the marketplace and individuals with a left-wing tendency being eliminated. Having experiences with the fall of mythological “strength,” the strength of invisible power, the mirror, and the classroom floor, I realize the possibility that this world can be seen in different aspects instead of the original one like a reversed world.
    In A House with the Deep Yard, “strength” works as a chance for “me” to open my eyes to the sacredness of labor unlike the two works above. I am disciplined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the eldest son by Mother with a tough life attitude. It is Mr. Ju, who defected to South Korea after the war broke out and earns a living by chopping firewood, that teaches me about the right use of strength. The exercise of strength by Mr. Ju representing sincerity makes me realize the ways of the world as “I” grow to perform familism and play my part as the eldest son fully.
    These three works offer a peek at the gender consciousness of male writers that underwent the Korean War and post-war society. They maintain that the growth of boys to overcome post-war confusion and life of extreme poverty should reflect concentration on and resistance to violence in a negative sense and the perception of the right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