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교파라는 ‘권력’과 기교파이지 않을 ‘권리’ - 조선어 구어의 ‘노래’를 찾아가는 임화의 근대시 기획에 대하여 (The ‘Authority’ as Technists and the ‘Right’ Not to Be it : About the Lim Hwa’s Plan of the Modern Poetry which Finds the ‘Sing’ of Chosuneo Spoken Languag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6
35P 미리보기
기교파라는 ‘권력’과 기교파이지 않을 ‘권리’ - 조선어 구어의 ‘노래’를 찾아가는 임화의 근대시 기획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47권 / 191 ~ 225페이지
    · 저자명 : 조영복

    초록

    자명성(自明性)은 성찰의 조건이기보다는 오히려 망각의 조건이다. 그것은 문학적 ‘사건’이 발생한 당대와 그것을 해석하는 현재 사이의 ‘역사적 거리’가 간과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조선어’ 문제는 언문일치와 시적 기술(技術) 문제의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사적 ‘사건’으로서의 중요성이 그다지 부여되지 않는다. 연구자의 현재적 관심사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임화는 문학사를 서술하면서 시의 ‘기술(技術)’ 문제, 즉 조선어 및 조선어 구어의 음악(음률, 노래)성 실현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게 되는데, 이는 ‘기교주의’에 대한 비판과 자가당착으로부터 벗어나 ‘시인-기술가(技術家)’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말하듯 자연스럽게 어떻게 시를 조선어로 잘 쓸 것인가?’ 이 문제에 관한 한 김기림, 박용철, 심지어 임화까지도 이 ‘기교주의’의 경계선 밖에 있지 않았다. 임화는 일제 말기 문학사 서술이나 평문에서는 이상의 ‘데카당적 경향’까지도 그 성과를 인정할 정도로 조선어와 언어적 감각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인다. 일제 말기 신세대 시인들, 오장환, 김광균, 서정주, 윤곤강 등에 대한 임화의 적극적인 평가 역시 ‘언어(기술)’ 문제와 무관하지 않은데, 이 신진시인들의 이른바 ‘롤모델’은 일상어의 미감과 자연스런 조선어를 구사한 선배시인들이었다.
    ‘기교주의 논쟁’의 핵심은 조선어 시의 ‘기술’ 문제였다. ‘기교’는 불연속성과 불균질성을 내포한 개념인데, ‘기교(파)’에 대한 용어학적 판단 부재가 이 논쟁의 맥락을 공소하게 만든 요인이다. ‘기교’를 가치중립적인 용어 ‘기술’로 대체한다면 이 ‘기술’의 탐색 과정은 곧 ‘조선어 구어의 음률적 실행’을 위한 근대시 양식의 모색과정인 것이다. 카프문단의 주도적 이론가로서 모더니즘파, 기교주의파를 비판하던 임화는 이 ‘기술가’의 관점에서는 경험적, 충동적, 문단적 이해관계와 도그마적 편견들을 넘어서서 보다 객관적이고 성찰적인 관점에서 근대시사를 재편할 수 있었다. 근대시사상 ‘기교(파)’라는 ‘권력’은 ‘기술(가)’의 ‘권리’로 대체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근대시의 통사적 기획을 ‘조선어 구어의 음률적 실행 및 계승’에 둔다면, 김억으로부터 임화를 거쳐 정지용과 김기림, 그리고 1930년대 대거 등장하는 신진시인들까지 이 ‘기획의 구도’ 안에 존재한다. 임화가 정초하고자 했던 조선 신문학사의 정점에는 ‘조선어’라는 항이 중요하게 놓이는데, ‘근대시’는 이 조선어 시의 양식을 고구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다. 시의 음악성을 최대한 구현하는 조선어 구어(일상어)의 운용, 곧 언어 기술(技術)의 문제는 문단 ‘권력론’이나 유파를 뛰어넘어 존재하는 근대시학의 핵심 사안이었다. ‘조선어’ 시(가)의 완성이라는 근대시의 숭고한 기획만이 그 ‘권력’의 자리를 대신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echnists’ imply discontinuity and non-homogeneity both terminologically and historically; it is an another strategy of enonciation. If the ‘technique’ is substituted to the ‘technology,’ the value-neutral word, this ‘technology’s searching process is the one of modern poetry’s style for the melodic execution of Chosuneo spoken language. Lim hwa, who had criticized Modernism and Technicalism as the leading theorist of KAPF, could reorganize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in terms of objectivity and reflection beyond dogmatic prejudice. On the history of it, the authority as Technists must be changed to the right of Technicians.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he approached the music of Chosuneo spoken language as poem’s describing problem; it shows the aspect of poet-technician deviant of self-contradiction.
    ‘How could you write the poem so well with Chosuneo spoken language?’ When it comes to this problem, Kim kirim, Park yongchul, even Lim hwa had not been in outside the border of Technicalism. Lim hwa had had big interest in sense problem of Chosuneo. Lim hwa’s active assessment to the new generation of end of Japanese imperialism(O Janghwan, Kim kwangkyun, Seo jungju, Yoon konkang etc.) also has relationship with the language(technology)’s problem; this rising poets’ role model were older ones, who had realized a sense of beauty of everyday words and natural Chosuneo so excellently.
    If Chosuneo spoken language’s melodical execution and succession take place in modern poetry’s syntactic plan, rising poets also were located in the structure of the plan. In this viewpoint, relationship between Kim uk, Kim kirim, and Lim hwa makes the discussion of the argument of Technists’ authority meaningless. Just the noble plan of modern poetry as the completion of Chosuneo poem could replace the role of this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