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에서 기술은 어떤 자리를 차지해야 하는가?: ‘원초적 기술성’이라는 스티글레르의 입장과 그 교육적 함의 (What Role Should Technology Play in Education?: Stiegler’s Concept of ‘Originary Technicit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5.03
28P 미리보기
교육에서 기술은 어떤 자리를 차지해야 하는가?: ‘원초적 기술성’이라는 스티글레르의 입장과 그 교육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7권 / 1호 / 173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진호, 곽덕주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심화’ 단계로 진단되는 오늘날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교육이 기술을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어야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현대 프랑스의 기술철학자인 스티글레르의 기술철학을 교육철학적 입장에서 전유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제까지 교육에서 기술을 다뤄왔던 ‘문제적인’ 방식으로서 기술-도구주의와 기술-결정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본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을 스티글레르의 기술철학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 논제가 중점적으로 검토된다. 첫째, ‘원초적 기술성’ 논제로, 인간과 기술이 존재론적 근원에서부터 서로가 서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이다. 둘째, ‘기억기술’ 논제로, 모든 기술은 인간의 외화된 기억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스티글레르는 기술에 의해 외화된 기억이 인간의 정신 형성에 필수적인 조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주장한다. 셋째, ‘파르마콘(pharmakon)으로서의 기술’ 논제로, 이는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약물적 성격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때 약물이란 묘약인 동시에 독약인 ‘파르마콘’의 번역어로서 인간과 기술의 존재론적 연관이 일방적이거나 배타적이지 않고 상호 규정적이며 상호 보충적인 성격의 것임을 보여준다. 이상의 논제들을 통해 스티글레르는 인간과 기술을 이항 대립적인 구도로 바라보던 근대적 기술관을 넘어서 이 둘을 상호 보충 관계로 이해한다. 이와 같은 그의 기술철학은 자본과 산업이 주도하는 디지털 기술의 압도적인 발전에 휩쓸리며 그 방향에 혼돈을 겪고 있는 교육계가 인간과 기술, 교육과 기술 간의 관계를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그의 사유를 따라갈 때 우리는 기술을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현재 우리가 존재하고 있고 또 이해하고 있는 ‘인간’이 그러한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그 삶의 존재론적 조건 중 하나라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교육적 맥락에서 새로운 양태의 ‘교육 기술(technology of education)’ 및 그것에 고유한 디지털 페다고지의 가능성에 열려 있도록 요청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ppropriate Bernard Stiegler’s philosophy of technology for our educational reflection on the role of technology in contemporary education, that is, how education should understand and deal with technology in today’s socio-cultural context, called a stage of “Digital Sophistication.” To this end, we first critically examine two dominant views of technology in education: technological instrumentalism and determinism. And then we attempt to introduce Stiegler's philosophy of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to them by reconstructing it on the basis of his three theses. The first is the concept of “originary technicity,” which is his unique concept that shows how human beings and technology are related from their ontological origins. The second is the concept of “mnemotechnics,” which well demonstrates Stiegler's philosophical position of understanding all technology as human exteriorized memory. Through this, Stiegler argues that exteriorized memory has become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human spirit. The third and final thesis is the idea of technology as “pharmakon,” which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is not one-sided or exclusive, but rather is mutually determining and complementary. With the above theses, Stiegler goes beyond the modern view of technology, which sees human beings and technology in a dichotomous relationship, and presents a new ontological complementarity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It is hoped that Stiegler's philosophy of technology will provide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which is threatened by the overwhelming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riven by capitalism and industry, enabling us to conceive a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and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We conclude that we should see technology (not as a mere tool) as one of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life that enables “human” as we currently exist as such, and that we need to be open to the possibility of a new form of “technology of educ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ontology-based digital pedago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