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색 알고리즘은 투명해야 하는가? -검색 투명성 원칙의 개념 및 법적 정당성에 관한 소고- (Should the Search Algorithm be Transparent? - A Legal Research on the Concept and Legal Justification of Search Transparency Principles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3.02
40P 미리보기
검색 알고리즘은 투명해야 하는가? -검색 투명성 원칙의 개념 및 법적 정당성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IT와 법연구 / 26호 / 215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해원

    초록

    온라인 플랫폼이 경제사회 전 활동을 매개하는 핵심 주체로 부상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규제 당국은 시장 경쟁 제한이나 소비자 후생 감소 등 온라인 플랫폼의 부정적 영향에 방점을 두어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플랫폼 규제는 정치적, 이념적 혹은 현실적 필요가 아닌 이론적 근거에 바탕을 두어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사적 자치는 우리 법체계의 근본 원리이므로 국가가 온라인 플랫폼이라는 사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규제함에 있어 사적 자치의 원칙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 온라인 플랫폼 규제 중 검색 투명성 원칙에 집중하여 그 이론적 정당성을 사법과 공법의 양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검색 투명성 원칙을 설명할 수 있는 사법의 법리는 정보제공의무나 계약상 채무이다. 그러나 검색 투명성 정보가 정보제공의무의 대상인 ‘중요한 정보’라고 보기 어렵고,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계약 상대방에게 검색 투명성 정보를 제공할 의무는 계약상 주된 채무, 부수적 의무 혹은 보호의무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법의 법리로는 검색 투명성 원칙을 정당화할 수 없다. 둘째, 검색 투명성 원칙이 공법적으로 정당화되는지의 문제는 규제법의 한계, 특히 내용적 한계를 준수하였는지의 문제이다. 이론적으로는 검색 투명성 원칙과 같은 경제규제에 관하여 입법자에게 광범위한 재량이 인정된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는 검색 투명성 원칙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규제법의 한계를 지키고 있다 볼 수 없다. ① 전제 사실에 관한 실증적, 객관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 ② 사전규제 방식을 취하는 점, ③ 일정 부분 시장의 자율적 준수가 존재하는 점, ④ 대상 정보나 방식에 관하여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 따라서 공법의 법리로도 검색 투명성을 정당화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검색 투명성 원칙은 이론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으며, 검색 투명성 원칙의 도입 필요성이 실존하는지에 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시급히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외국 입법례의 무분별한 계수나 입법만능주의는 마땅히 경계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Online platform regulation should be regulated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not political, ideological or realistic needs. In addition, since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s one of the fundamental theorem of legal system, i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state regulates the economic activities of online platforms. Recongnizing these problem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inciple of search transparency and reviews its theoretical legitimacy from both the civil and public law perspectiv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ivil law theory that can explain the search transparency principle is the ‘Informationspflichten’ or contractual oblig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gard search transparency information as crucial information that is subject to the Informationspflichten, and the obligation of an online platform operator to provide search transparency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to the contract does not fall under any contractual obligation, including incidental obligation or duty of protection. Therefore, the principle of search transparency cannot be justified by civil law perspective.
    Secon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earch transparency principle is legally justified by public law theory is the matter of whether the fundamental limits of the regulatory law were observed. In theory, broad discretion is allowed to legislators with respect to economic regulations. However, The search transparency principle currently being discussed cannot be seen as adhering to the limits of the regulatory law for the following reasons: ① empirical and objective verification of the premise facts has not been made; ② a ex-ante method is used; ③ A certain portion of the market The existence of autonomous compliance; and ④ The lack of sufficient consideration for target information or methods. Therefore, search transparency cannot be justified even by the jurisprudence of public law.
    In conclusion,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search transparency principle currently being discussed cannot be justified theoretically, and that an objective and empirical study on whethe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earch transparency principle exists is urgently required. Indiscriminate counting of foreign legislative precedents or legislative omnipotence should be avoi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IT와 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