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극작가 박동화의 로칼 인식과 실천 -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 <여운>을 중심으로 - (Local Perception and Practice of Playwright Park Dong-hw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8.03
25P 미리보기
극작가 박동화의 로칼 인식과 실천 - &lt;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gt;, &lt;여운&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39호 / 313 ~ 337페이지
    · 저자명 : 최상민

    초록

    본 연구는 박동화 희곡 가운데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1959)와 <餘韻>(1962) 등 을 장소, 공간, 로칼리티라는 프리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프리즘은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 개념에 크게 의존한 것이다. 이 두 작품을 선정한 것은 우선 1960년 4·19라는 한 시대의 획을 긋는 사건을 前後로 작가의 공간 인식과 실천이 어떤 원리를 통하여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함이었다.
    장소와 공간은 시간과 함께 존재의 근원적인 지평이다. 따라서 이들은 그 자체로서 로칼적 존재의 의미를 드러내는 주요한 계기가 된다. 이들 개념들은 인간이 다른 인간과의 관계에서, 혹은 다른 사물들과의 관계에서 맺고 있는 연대와 고립을 확인할 수 있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들 관계맺음의 구체적 양상과 심리적 현실, 그가 속한 사회 속에서의 위상, 또 세계에 대한 그의 위상이나 인식 내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가치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동화 희곡의 로칼리티는 공간을 바라보는 주체의 이중적인 시선을 드러낸다. 이는 ‘전통적 성격의 잔존’과 식민지적 ‘혼종성’과 같은 맥락들이 교호작용하면서 도달하게 된 주체의 인식과 공간실천의 결과이며, 상상적 공동체에 대한 인식적 산물이다. 둘째, 박동화 희곡의 로칼리티는 로칼리티에 대한 다시쓰기를 통하여 발현되고 있다. 그는 이를 위해 로칼의 주변적 가치에 대한 재발견과 승리 서사 만들기를 시도하고 있다. 이는 극서사의 핵심적인 추동력이 대개의 경우 주변의 인물들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하여 확인가능하다.
    본 연구가 그 동안 중앙의 문단과 극계를 중심으로 이뤄져온 연구의 편향성을 극복함으로써 지역 문학사 내지 연극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plays by Park Dong-hwa such as <My monologue has not ended>(1959) and <Afterglow>(1962) through the prism of place, space, and locality. This prism largely depends on the concept of 'social space' by Lefebvre. These two works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the author's principle to show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pace before/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as a new milestone in the era.
    Place and space are the original prospect of existence together with time. Therefore, they become major chances to reveal the meaning of local beings because these concepts make it possible to see the solidarity and iso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relationships with other objects. Moreover,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values to understand the concrete aspect and psychological reality of their relationships, the status in the society where he belongs to, and his status or perception of the world.
    The facts verified by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 First, the locality of the plays by Park Dong-hwa reveals the dual gaze of the subject viewing the space. It is the result of the subject's perception and spatial practice through interactions of contexts like 'survival of traditional character' and colonial 'hybridity'. Second, the locality of the plays by Park Dong-hwa is revealed through rewriting of locality. For this, he is attempting to rediscover the surrounding value of locality and also to create narratives of victory, which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fact that the core impetus of narratives is shown by surrounding characters in most ca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 of play history or regional literature history, by overcoming the bias of the existing researches focusing on the central literary world and theatric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