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 - (Why should we read Thomas Aquinas in 21st Century Korea?: Inspired by Father Jae-Ryong Lee’s Research Journey)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3.12
56P 미리보기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세철학 / 29호 / 7 ~ 62페이지
    · 저자명 : 박승찬

    초록

    근대 이후 과학과 기술은 놀랄 만한 진보를 이루었지만, 최근 들어, 특히 코로나19 이후에 과학과 기술 덕분에 행복해지리라는 진보에 대한 순진한 믿음은 사라졌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회칙 「신앙의 빛」 은 보편적인 진리를 의심하는 회의주의, 현세적 행복에 대한 집착, 무신론적 인본주의, 과학의 발전을 절대시하는 과학주의 등이 인간 자신의 존엄한 가치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현대 과학 및 사상의 발전 앞에서 그리스도교 지식인들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이에 답해 줄 멘토로 ‘스콜라 철학의 완성자’라 불리는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를 선택하고,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하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워낙 방대한 답변 가능성을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토마스를 평생에 걸쳐서 소개하고 연구해 온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을 통해 주요 요소를 압축해 보았다.
    우선 토마스 아퀴나스가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위해 노력한 모습을 요약한 후, 근대 철학이 대두하면서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응답으로 발전한 신-토마스주의의 명암을 평가해 보았다.(제II장) 이어서 토마스가 제시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이루기 위한 기본자세로서, 다른 사상과 학문에 대한 개방성, 영원한 진리에 대한 지속적인 추구, 은총에 대해 신뢰하면서도 인간의 자유를 존중해야 함을 밝혔다.(제III장) 이를 토대로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대 가톨릭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즉 우리는 토마스를 본격적으로읽음으로써 철학의 지혜적 차원을 회복할 수 있고, 진정한 형이상학을 복원하며, 그리스도교의 통합적인 인간관을 계승함으로써 풍부한 인격 개념에 근거한 진정한지혜를 발굴할 수 있다. 이로써 현대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제IV장) 이와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후배 학자들의 귀감이되는 이재룡 신부가 이룬 업적을 높이 평가하며, 현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가톨릭 철학이 맡아야 하는 새로운 과제들에 대해서도 성찰해 보았다.

    영어초록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made remarkable advances in modern times, recent events, especial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have diminished the naïve belief that progress will make us happier. In his encyclical Lumen Fidei, Pope Francis highlighted the argument that the threat of skepticism, which doubts universal truths, and the preoccupation with temporal happiness, atheistic humanism, and scientism, which absolutizes scientific progress, threate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how Christian intellectuals should navigate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hought.
    In this study, we turn Thomas Aquinas, known as the “perfecter of scholastic philosophy,” to answer the question, “Why should we read Thomas Aquinas in 21st century Korea?” To address this, we draw inspiration from Father Jae-Ryong Lee’s lifelong dedication to introducing and studying Thomas.
    We begin by summarizing Thomas Aquinas’s efforts to reconcile faith and reason, and then asses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Neo-Thomism, which emerged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posed by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Chapter II) Next, we then identify St. Thomas’s “reconciliation of faith and reason” as a fundamental stance for renewal in the modern world. This stance involves openness to different ideas and disciplines, the ongoing search for eternal truth, and respect for human freedom while placing trust in grace.(Chapter III) Building on this foundation, we emphasize that the serious study of Thomas Aquinas points the way forward for contemporary Catholic philosophy. By delving into Thomas’s work, we can reclaim the wisdom dimension of philosophy, restore authentic metaphysics, and discover genuine wisdom rooted in a rich conception of personhood by adopting the intergrated Christian view of man. This provides crucial foundation for adressing the ethical challenges of the modern world.(Chapter IV) Finally, in recognition of Father Lee’s accomplishments as an example for younger scholars pursuing these goals, we reflect on the new responsibilities that Korean Catholic philosophy must undertake to overcome the contemporary cri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세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