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거래에서 화물인도지시서와 상환하지 않은 운송물의 무단반출에 대한 책임 (Responsibility for Unlawful Delivery of Cargo without Exchange for the Delivery Order (D/O)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8
39P 미리보기
국제거래에서 화물인도지시서와 상환하지 않은 운송물의 무단반출에 대한 책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과 기업 연구 / 11권 / 2호 / 113 ~ 151페이지
    · 저자명 : 김동민

    초록

    해상운송에서 선하증권이 발행된 경우, 목적지에 도착한 운송물은 대부분 선하증권 소지인에게 바로 인도되지 않고 통관이나 검역 등의 이유로 일정 기간 동안 보세창고나 보세장치장 등 보세구역에 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운송인이 운송계약상의 운송물 인도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그 인도가 있을 때까지 스스로가 운송물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어야 하는데, 이처럼 운송물이 보세구역에 적입되어 있는 때에는 운송인의 운송물에 대한 통제를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운송인의 인도지시에 따라야 하는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D/O)가 이용되고 있다. 즉 선하증권 소지인은 운송인에게 선하증권을 제시하면서 화물인도지시서의 교부를 청구하고, 운송인으로부터 화물인도지시서를 발행받아서 운송물을 장치하고 있는 보세창고업자에게 이 증서를 제시하여 운송물을 인도받는 방식이 관행화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수하인으로부터 위임을 받은 수입업자가 자신과 임치계약을 맺고 있는 보세창고업자에게 운송물의 인도를 청구하면, 보세창고업자는 어쩔 수 없이 운송인이 발행한 화물인도지시서와 상환하지 않고 수입업자에게 운송물을 인도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운송물 인도가 운송인의 인도지시와 무관하게 보세창고업자의 착오로 잘못 이루어진 때에는 그 인도의 효력이 문제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선하증권 소지인 등 운송물에 대하여 진정한 권리를 갖는 자가 있는 경우 운송인과 창고업자 중에 누가 불법행위책임을 지는지도 문제된다. 이와 같이 해상운송 실무상 화물인도지시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상법이나 기타 특별법에는 이에 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운송물이 화물인도지시서와 상환되지 않고 보세창고업자로부터 불법적으로 반출된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의 귀속 주체와 관련하여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화물인도지시서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면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화물인도지시서에 의한 운송물 인도의 구조를 살펴보고, 그 법적 성질 중에서 특히 유가증권성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화물인도지시서가 발행된 경우 운송인과 보세창고업자 및 선하증권 소지인 상호간의 법률관계로 구분해서 각각의 권리ㆍ의무에 관하여 살펴보고, 운송물 인도의 이행불능에 대한 책임 귀속의 문제와 그 해결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해상운송에서 운송물이 보세구역 내의 보세창고에 장치된 경우, 운송인이 보세창고업자와 임치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관계로 운송물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한 상태에서, 수입업자 등에 의해 운송물이 무단반출 되는 문제점의 원인을 알아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When a bill of lading(B/D) is issued in maritime transport, most shipments arriving at their destination are not delivered directly to the holder of the bill of lading, but are deposited in a bonded wareho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reasons such as customs clearance or quarantine. At this time, if the holder of the bill of lading presents the bill of lading to the carrier and requests for the delivery of the delivery order(D/O), he receive the delivery order from the carrier and presents this delivery order to the bonded warehouse operator holding the freight to receive the delivery.
    In this case, if the importer entrusted by the consignee requests delivery of the cargo from the bonded warehouse operator that has a custody contract with him, the bonded warehouse operator has no choice but to return the corgo to the importer without repaying the delivery order issued by the carrier. This may cause a problem of infringing on the rights of the holder of the bill of lading.
    However, if the delivery of the cargo is made without repayment with the delivery order due to the error of the bonded warehouse operator regardless of the delivery order issued by the carrier, the effectiveness of the delivery may be problematic.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person with genuine rights to the cargo, such as the holder of the bill of lading, who is liable for the tort among the carrier and the warehouse is also an issue.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delivery order are widely used in maritime transport practice, there are no regulations regarding this in the Commercial Act. Therefore, if the shipment is illegally taken out of the bonded warehouse without being repaid with the delivery order, disputes arise over who is responsible for it, but an appropriate response has not been made.
    Thus,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delivery of cargo by the delivery order was examined while arranging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delivery order. review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rights and obligations related to the delivery of cargo between the carrier, the holder of the bill of lading, and the bonded warehouse operator, which is the legal relationship in the case of the issuance of a freight delivery order.
    Based on this, in this study, the issue of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or non-fulfillment of delivery obligations caused by the unauthorized removal of cargo was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the person who bears responsibility for the holder of the bill of lading who cannot receive the delivery of the cargo when the importer takes out the cargo stored in the bonded warehouse without repaying the delivery order was exam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 기업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