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울한 여성’의 우울하지 않기 위한 선택: 신자유주의시대 젠더화된 자기관리 담론 분석 (Women’s Depression and Their Choice Not to Be Depressed: The Discourse Analysis of Gendered Self-management in the Neoliberal Er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우울한 여성’의 우울하지 않기 위한 선택: 신자유주의시대 젠더화된 자기관리 담론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35권 / 4호 / 69 ~ 97페이지
    · 저자명 : 배성신

    초록

    이 글은 여성 우울증 담론이 크게 증가했던 2008년부터 2015년까지의 미디어의 기사를 분석하여, 자기 계발을 명목으로 우울한 여성이 관리가 필요한 대상으로 부상했으며, 이를 통해 젠더이분법이 재/생산되었음을 밝히기 위한 작업이다. 여성들은 생물학적인이유로 우울증의 예방을 당부하는 메시지에 익숙하게 노출되곤 한다. 이러한 담론의 유포는 우울하지 않기 위해 과연 유용한가. 우울증 경계 및 관리 담론이 오히려 ‘우울한여성’을 양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신자유주의적 자기계발 과정에서 사회가 요구하는젠더 수행을 하지 않는 상태는 종종 우울한 상태로 정의되거나, ‘자기관리에 소홀한 것’ 으로 해석되었다.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은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기 이전에, 지배권력의 개입을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로 재편하여 실행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우울하지 않기 위해 ‘우울할 수밖에 없는 몸’을 가진 여성들은 보다 철저히 역량을 발휘하여자기 자신을 돌보라는 구체화 된 자기관리를 요청받고 있다. 의료지식은 우울증 예방을명분으로 스스로를 통치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다 ‘생산적’으로 느끼도록 하는 장치가된다. 이를 위해 요청되는 가부장적 질서에 기반한 노력들은 ‘나’에 대한 책임, 경쟁에서이기기 위한 기술, 환영받을 있는 주체로의 이양이기도 하다. 이로써 젠더 위계와 갈등요소는 ‘자기 관리’의 명목으로 은폐되며, 우리 사회의 젠더 이분법은 강화될 수 있었다.
    젠더화된 수행 여부가 우울함/우울하지 않음, 사회로의 적응/부적응을 의미하는 구도의해체야말로 여성이 ‘우울하지 않기’ 위한 진정한 시작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n effort to reject the current discursive practice on depression, which tends to dismiss depression as merely a personal problem.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discourse on women’s depression, I aimed to reveal how gender norms were reproduced to govern our daily life. I conducted the discourse analysis with the media reports collected from the year of 2008 to 2015 when the discourse on women’s depression was explosively distributed. Following th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First, women were described to the subject that should manage the self not to become depressed women on the dividing lin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under the neo-liberalistic order. Next, this cultural script for women also justified a wide range of body management practice from weight control to cosmetic surgeries on the vagina or oral angle. Last but not least, the logics, which explained about depression versus non-depression and described depressed women within the ab/normal frame, induced women to embody ideal femininities in the current neoliberal era. Consequently, the category of women was continuously reproduced as the gender binary was reshaped throughout the discourse on women’s de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