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사회의 불안하지 않은 계급: 2·30대 ‘강남 키즈’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Classes Without Anxiety In Korea An In-Depth Study of ‘Gangnam Kids’ in Their 20s and 30s)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5.02
52P 미리보기
한국 사회의 불안하지 않은 계급: 2·30대 ‘강남 키즈’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사회 / 33권 / 1호 / 209 ~ 260페이지
    · 저자명 : 조이진

    초록

    이 연구는 강남에서 오랜 시간 성장한 강남 키즈를 통해 강남이라는 한국 사회의 특권적 공간의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장소는 자연·문화·경제가연결된 공간으로, 공동체 정체성을 강화하며 계급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사회에서 강남은 특권적 권력 구조와 집단적 정체성을 통해 형성된 계급 구별의대표적 사례로 자리 잡았다. 계급은 생활 방식과 문화적 실천으로 형성되며, 공간과 자본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도 재현된다는 관점에서 강남에서오랜 시간 나고 자라며 성장한 강남 키즈를 심층 인터뷰함으로써 이들의 사회적인식과 감각, 그리고 강남이라는 장소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강남 키즈는강남이라는 지역의 편리함, 안전함, 그리고 질적으로 우수한 인프라 속에서 성장할 기회를 획득했다고 할 수 있다. 강남이라는 장소성은 이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바탕이 되며 삶의 주요한 기반으로 인식된다. 과거 부모 세대에게는 교육이 강남이라는 지역의 가장 중요한 장점 및 이점이었을지 모르나현재 강남 키즈들에게는 안전과 편리함 그리고 동질성이 강남이라는 공간의 핵심 선호 선택지가 되었다. 학창 시절 이들이 경험한 면학 분위기 역시 안전함의주요한 이유가 되었다. 강남 키즈가 경험하는 경제적 안정성과 성취감은 선택지의 확장성과 연결되며 이는 과거와 미래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도전을피하지 않을 수 있는 동력이 되었다. 경제적 자산뿐 아니라 부모 세대로부터 얻게 된 문화적 자본은 강남 키즈에게 주요한 경험적 자본과 삶의 기회를 제공하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들의 이러한 경험은 능력주의가 개인의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든다. 강남이라는 모든 인프라가 집중된 지역의 타지역과의 차이를 인식하면서도 이러한 지역에서도 결국 개인의 능력에따라 얻게 되는 결과에 차이가 있다고 믿는다. 자신들의 성취 역시도 개인의 성향과 노력, 능력에 기반하고 있다는 믿음은 현재 한국 사회의 능력주의 신화를더욱 굳건하게 한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해야 할 부분이다. 무엇보다 이것이 한국의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국가와 재벌, 소수 엘리트의 개입과 권력에따라 구성된 ‘강남’이라는 공간에서 유지, 실현되고 있다는 것은 문제적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significance of Gangnam—a symbol of privileged space in South Korean society—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Gangnam kids,” who have grown up in this area over an extended period.
    Places act as interconnected spaces of nature, culture, and economy, which strengthen community identity and influence class formation. In Korean society, Gangnam has become emblematic of class differentiation through its privileged power structures and collective identity. Class is shaped by lifestyles and cultural practices, and the interaction of space and capital continues to perpetuate this in the modern society.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ho have spent most of their lives in Gangnam, the study seeks to discuss their social perceptions, sensibilities, and the place identity of Gangnam. Gangnam kids are perceived to have had the opportunity to grow up amid the convenience, safety, and high-quality infrastructure in Gangnam.
    The place identity of Gangnam serves as a crucial foundation in shaping their identity and is seen as an essential base of their lives. While for the previous generation, education may have been the most significant advantage and asset of residing in Gangnam, for the present-day Gangnam kids, safety, convenience, and homogeneity have become the core preferred attributes of this space. The academic environment they experienced during their school years further contributed to a sense of security. The economic stability and sense of achievement experienced by Gangnam kids are linked to an expansion of choices, which reduces fear of past and future failures and empowers them to embrace challenges. Not only economic capital but also cultural capital inherited from their parents has provided Gangnam kids with substantial experiential capital and life opportunities. This experience fosters a belief in meritocracy as an individual construct, leading them to perceive differences in outcomes even within the highly concentrated infrastructure of Gangnam as dependent on individual abilities. The conviction that their achievements are based on personal disposition, effort, and capability further entrenches the meritocracy myth prevalent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a perspective warranting critical scrutiny. Moreover, the fact that this is sustained and realized within “Gangnam,” a space configured through the involvement and power of the state, chaebols, and a small elite, with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Korea, poses significant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