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칙중심 규제: 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얻는 시사점 (Principle-based regulation: why and how should it be adopted? Lessons from the experience of the UK)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9.11
32P 미리보기
원칙중심 규제: 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얻는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은행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은행법연구 / 12권 / 2호 / 241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정훈

    초록

    모든 규제내용을 세세히 법규에 기재하는 우리나라의 금융규제 체계의 문제점에 주목하고 원칙중심 규제체계로 전환하자는 목소리가 업계 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늘어나고 있다. 이 글은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원칙중심규제 체계가 그 주창국인 영국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어느 규제체계나 안정성과 합리성이라는 두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데, 이 두 가치가 서로 상충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다는데 문제가 있다. 규정은 규제체계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지만,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는 규제의 합리성을 떨어트린다. 재량은 규제의 합리성을 추구하는데 적합하지만, 재량의 범위가 넓어지면 규제의 안정성을 훼손한다. 원칙중심규제는 규정과 재량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규제체계의 안정성과 합리성을 모두 달성하려는 시도이다.
    먼저 규정제정 측면에서, 영국은 Principle, Rule, Guidance 등 다양한 유형의 규정 형태를 통해 규정집을 구성하는데, 이들 서로 다른 유형의 규정들은 추상성의 정도, 위반시 제재효과 및 민사상 책임부과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영국은 다양한 규정형태를 함께 사용하여 규제의 안정성과 합리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영국의 원칙중심규제의 집행전략은 금융회사들의 규제 준수를 지원하는 준수중심 집행전략을 바탕으로 하되, 주변 환경과 기존 집행전략의 성과 분석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수정되어 왔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 증거에 입각한 개입(evidence-based intervention)에서 적극적 개입(proactive intervention) 전략으로 전환하였고 개인에 대한 제재인 Senior Managers and Certification Regime 도 도입하였다.
    한국의 금융규제체계는 규칙중심 규정체계와 제재중심 집행체계가 결합된 형태인데, 이런 체계는 규제의 집행자와 피규제자 모두 규제의 목적을 잊고 규정의 문구에 매몰되는 규제문화를 만들고 있다. 규제의 목적에 집중하는 원칙중심규제를 통해 한국 금융규제체계의 비합리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원칙중심규제 실현을 위해 규제 집행 측면에서는 규제의 문구가 아니라 목적의 위반 여부에 따라 제재여부를 결정하고, 제재 및 준수지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잡힌 접근을 하여야 한다. 규정 제정 측면에서는 추상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원칙과 원칙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하는 하위규정을 조화롭게 사용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re has been increasing voice speaking up about the problem of rule-based regulation and arguing transition to principle-based regulation in financial regulatory system in South Korea. This article shows how principle-based regul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he UK and discuss the practical way how South Korea adopts it.
    Any regulatory system should pursue two important values, which are stability and rationality, but the problem is that the two values are in trade-off relationship in many situations. Rules are good instruments to enhance stability of a regulatory system but it may deteriorate rationality of the system in unexpected situations. Discretion is a proper tool to pursue rationality but it may damage stability. Principle-based regulation is an attempt to maximize stability and rationality in financial regulatory system by using rules and discretion in harmonize.
    In terms of rule-making, the UK formulates its rulebook with various types of rules such as Principle, Rule, and Guidance, and these rule types have different level of abstractness, regulatory sanction on breach and civil responsibility in court. The UK seeks stability and rationality in the regulatory system by utilizing these various rule types.
    The UK’s enforcement strategy can be said to be oriented to compliance-focused approach but it has been adapted to changing environment on the basis of evaluation of the previous strategy. The UK changed from evidence-based intervention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o proactive intervention, and recently adopted Senior Managers and Certification Regime which seeks personal responsibility in financial institutions.
    Financial regulatory system of South Korea is mixed with rule-based rule-making and deterrence-focused enforcement approach, which induces regulatory culture where both of regulator and regulatee to stick to the letter of rules instead of regulation’s purpose. Principle- based regulation that focuses on regulatory purpose can fix the irrationality of financial regulatory system in South Korea.
    In order to implement principle-based regulation, breach of regulatory purpose should be sanctioned instead of breach of letters of rules and balanced approach focused both on deterrence and compliance is required. In terms of rule-making, abstract and purposive principles and subordinate rules should be used in harmoni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은행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