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 出土 高麗 青磁 - 新安船에서 發見된 高麗 青磁의 자리매김 - (Goryeo Celadon excavated in China - Settlement of Goryeo Celadon Found on the Sinan Shipwreck)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12
54P 미리보기
中國 出土 高麗 青磁 - 新安船에서 發見된 高麗 青磁의 자리매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0호 / 14 ~ 67페이지
    · 저자명 : 고바야시 히토시

    초록

    원대 至治3年(1323)에 중국 닝보(당시의 경원)을 출항해 일본 하카타로 향하던 도중 전라남도 신안 앞바다에서 침몰한 침몰선, 이른바 ‘신안선’에 대해 1976년부터 1984년까지 실시된 인양조사는 한국 수중고고학의 시작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안선에는 대량의 중국 문물들이 실려 있어 당시의 동아시아 교역의 실체를 이해하는 데 매우 큰 역할을 했다. 방대한 양의 중국 도자들에 섞여 7점의 고려 청자도 발견되었는데 그 수량은 적지만 이 또한 큰 의미를 갖는다.
    신안선에서 고려 청자가 발견된 것이 계기가 되어 1980년대 후반부터 중국 출토 고려 청자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졌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특히 항저우와 닝보를 중심으로 절강 지역에서 상당한 수의 질 높은 다양한 고려 청자 파편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국제무역항인 닝보에 많은 고려 청자가 모여들었던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송의 도읍이었던 항저우(당시의 임안)의 궁정 유적에서 남송 궁정에서 사용됐던 매우 질이 높은 고려 청자가 다수 출토되어 남송 궁정에서 고려 청자가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렇게 닝보에 모여들었던 고려 청자의 일부가 신안선에 실려 일본으로 향했던 것이며, 일본에서 출토된 고려 청자의 상당수도 이렇게 중국을 경유해 전해졌을 가능성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다. 다만 그 수가 적어 고려 청자가 과연 일본측의 주문에 의해 실린 것인지는 의문이며, 일본의 수요자측(직접 거래에 관여한 상인 등은 제외)이 당시 이렇게 들어온 고려 청자를 ‘고려 청자’로 인식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없어 고려 청자는 일본에서 넓은 의미의 ‘당물’로 수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북송의 서긍을 경탄케 한 고려 청자는 휘종을 비롯해 북송 궁정에도 전해졌는데 이러한 북송의 고려 청자에 대한 평가는 남송 궁정으로도 이어져 남송 궁정 관련 유적에서 최고급 고려 청자가 출토되고 있다. 여요와 관요 등 청자 문화가 절정에 달했던 송대에 고려 청자가 수용되어 여요와 관요 등과 함께 궁정에서 사용된 것은 외국산 도자로서는 파격적인 평가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중국 도자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해 온 고려 청자가 이뤄낸 독자적인 아름다움이 거꾸로 청자의 본고장인 중국, 송나라 사람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 평가는 오랜 후까지 이어졌다. 중국에서 출토된 고려 청자는 이렇듯 중국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증거라 할 수 있다. 신안선에 실려 있던 고려 청자는 7점에 불과하지만 중국에서의 고려 청자에대한 평가를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Having departed from the port of Ningbo in China bound for Hakata in Japan, the Sinan vessel sank off the coast of Sinan, Jeollanam-do Province in 1323, the third year of Zhizhi’s reign, Yuan, China. The salvaging and study of the Sinan shipwreck from 1976 to 1984 could be considered the birth of Korean underwater archeology. The large number of Chinese products that were loaded on the Sinan has contributed greatly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trade in East Asia at that time. Along with the large quantity of Chinese ceramics, the presence of Goryeo celadon, albeit only seven pieces, is also significant.
    The discovery of Goryeo celadon from the Sinan shipwreck sparked gradual interest in Gogryo celadon excavated in China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Since the 2000s, a considerable number of Goryeo celadon shards of high quality have been excavated in Zhejiang Province, especially in Hangzhou and Ningbo. This signifies that at the time large quantities of Goryeo celadon were converging in Ningbo, an international trade port. In addition, many pieces of Goryeo celadon have been excavated at the court sites in Hangzhou (then called Lin'an), previously the capital of the Southern Song (南宋, 1127~1279) Dynasty. They were of the highest quality, which suggests that Goryeo celadon was highly appreciated in the court of the Southern Song court where they were presumably used. Recently, scholars argue tha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eladons shipped to Japan on the Sinan vessel had been collected in Ningbo, and that much of the Goryeo celadon excavated in Japan must have been delivered to Japan via China along this same route. But the quantity of Goryeo celadon is too small to confirm whether it was being shipped to Japan to order. Neither is there any evidence to confirm that Japanese customers considered this celadon ware as being from Goryeo, and thus in Japan they possibly were broadly assumed to be Chinese.
    The Goryeo celadon that Xu Jing (徐兢, 1091~1153) had admired was introduced to Emperor Huizong (徽宗, r. 1100~1125) of Song as well as to the court of the Northern Song (北宋, 690~1127). The excav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Southern Song court has demonstrated that Goryeo celadon must have been of the highest quality, and that its appreciation continued in the court of the Southern Song. During the Song dynasties, Ru wares (汝窯) and Guan wares (官窯) were examples of celadon culture reaching its peak. The fact that Goryeo celadon wares were accepted and used at court alongside the Ru and Guan wares signifies that they were exceptionally appreciated as foreign ceramic wares. In other words, the unique aesthetics of Goryeo celadon, which had developed with influence from various Chinese ceramics, was then highly appreciated in return by people of the Song Dynasty, the home of celadon, and such appreciation lasted a very long time. The Goryeo celadon wares excavated in China are valuable evidence proving such Chinese appreciation. The seven pieces of Goryeo celadon found in the Sinan shipwreck, despite being small in number, are good examples of such apprec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