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추가의 정서’ 국내 이행 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전망 (Evaluation and Forecast on the Legislative Bill for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5.02
35P 미리보기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추가의 정서’ 국내 이행 법률(안)에 대한 평가와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6권 / 1호 / 835 ~ 869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천

    초록

    1993년 12월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ment Programme:UNEP)에서 발효한 생물다양성협약에 유전자변형생물체를 포함하는 생명공학안전성의 내용이 포함됨에 따라 바이오안전의정서를 마련하게 되는 기틀을 다지게 되었다. 이어서 1995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국총회 제2차 회의에서 당사국들은 ‘바이오안전성 임시작업반’(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n Biosafety)을 설치하여 2000년 1월 29일 캐나다의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생물다양성협약(CBD) 특별당사국총회에서 ‘생명공학안전성의정서’ 또는 ‘바이오안전성의정서’(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가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diversity)의 부속 의정서인 ‘바이오안전성의정서’(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는 5년간의 협상 끝에 2000년 1월 29일에 타결되었다.
    그 당시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주요내용으로는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국가 간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환경 및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 방지를 목적으로 그 수입시 사전통보․동의절차(AIA: Advanced Informed Agreement), 사전예방원칙(Precautionary Principle), 위해성 평가, 위해성 관리, 운반방법․저장․이용방법의 표시, 바이오안전성 정보센터의 운영 등에 대한 사항 등의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바이오안전성 의정서 제27조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에 의하여 초래되는 손해”에 대한 책임과 배상분야에 관한 적절한 국제규칙과 절차를 위한 논의가 4년 이내에 완성되도록 한다”고 규정하기에 이르게 되었으나, 유전자변형생물체로 인한 피해에 관한 책임 및 복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하지 못했다.
    이어서 2010년 10월 제5차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총의를 통하여 채택된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책임․구제 추가의정서는 2014년 6월 현재 EU를 포함하여 25개국이 비준서․ 승인서․수락서․가입서를 기탁함으로 인하여 2014년 10월에 40여개 국가가 비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바,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개최국으로서 선도적인 입장에서 추가의정서의 당사국으로 시급하게 가입해야 한다는 주장과 반대로 유전자변형생물체(GMO)의 수입국으로서 국내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함께 국민 보건 증대를 위하여 국내 입법을 마련하고 국제적인 추진 과정을 지켜보면서 추가의정서에 가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바이오안전성 당사국가로써 상당한 모범적인 국가이므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추가의정서’ 국내 이행법률(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추가의정서’ 국내 이행 법률(안)을 독립법률(안)으로 할 것인지,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에 담을 것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을 수 있겠으나, 현재 모법인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에 제정(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추가의정서’ 국내 이행 법률(안)으로 정의규정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피해”의 개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피해자”의 개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취급자[사업자≒운영자]의 개념”,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책임”규정, “면책사유”, “인관관계 추정”규정, “유전자변형생물체의 배상한도 및 배상절차”규정, “정보제공 등”규정, “보험가입”, “소멸시효”에 관하여 입법모델(안)을 마련하였다.
    종국적으로 앞에서 제시한 ‘책임 및 구제에 관한 추가의정서’ 국내 이행 법률(안)이 최적화된 법률(안)이라고 하기 보다는 추가의정서의 국내이행법률을 통하여 유전자변형생물체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사후적인 손해배상에 관한 논의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현대 생명공학기술의 발전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by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went into effect in December 1993 with the safety of biological engineering and LMOs (Living Modified Organism) included. The inclusion of the biological engineering and LMOs laid the foundation of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CPB). Following the move, the second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Parties to the CBD in Jakarta, Indonesia in 1995 established the Open-ended Ad Hoc Working Group on Biosafety and the extraordinary meeting of the COP to the CBD in Montreal on January 29, 2000 adopted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f the CBD was finally concluded on January 29, 2000 after five years of discussion.
    The CPB aims to prevent any hazard occurring from the transboundary movements of LMOs and its possible hazard to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e main features of CPB include AIA (Advanced Informed Agreement), precautionary principle, hazard assessment and management, transport and use, storage, and the operation of biosafety information centre. The CPB sets forth on Article 27 that ‘the COP should adopt a process with respect to the appropriate international rules and procedures in the field of liability and redress for damage resulting from transboudary movements of living modified organisms, and should endeavour to complete this process within four years.’ However, the specific details of such liability and redress with respect to the damage resulting from living modified organisms have not been established.
    The 5th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on October 2010 adopted Nagoya-Kuala Lumpur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As of June 2014, total 25 states including the EU have entrusted the statement of ratification, acceptance, endorsement or join and up to 40 states are likely to rectify the Supplementary Protocol by October 2014. There are voices demanding the joining of the Supplementary Protocol as the future hosting country of the Cartagena Protocol whereas the opposite side demands that the signing the Supplementary Protocol should be cautious. Those who take the cautious position say that Korea, as the importer of GMOs, should establish the appropriate laws and closely follow the international move before signing in order to conserve biodiversity and to promote public health. This paper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establish the legislative bill to implement the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domestically as one of the parties which has been making good practice on theinternational biosafety.
    There may be controversy over the bill in terms of whether it should be an independent law or a part of the Act on Transboundary Movements of Living Modified Organisms and Other Related Matters (the LMO Act). The bill should be included in the parent law, the LMO Act, with a provision on definition. Provisions that will be included in the legislative model are the concept on ‘the damage resultingfrom the living modified organisms (LMO)’, the concept on ‘the victim of the LMOs’, the concept on ‘the person who handles the LMOs (business = operator)’, the provision on ‘the liability in regard of the LMOs’, ‘immunities’, ‘assumption of a causal relationship’, ‘the limit of compensation for the damage caused by the LMOs and the compensation process’, ‘the provision on information’, ‘insurance policy’, and‘statute of limitations.’Finally, the proposed bill for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n ‘the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may be not the optimal bill but the starting point of active discussion on the damage caused by the LMOs and the related compensation, which ma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bioengineering technology,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