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후반기의 네오 -­ 휴머니즘론 고찰-김오성, 안함광, 김동리를 중심으로 (Neo-humanism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Second Half-year: A Study of Kim Ohsung, An Hamgwang, and Kim Dongli)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7.01
29P 미리보기
일제 후반기의 네오 -­ 휴머니즘론 고찰-김오성, 안함광, 김동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3호 / 493 ~ 521페이지
    · 저자명 : 홍기돈

    초록

    1930년대 전반기 파시즘이 약진하면서 세계 정세는 혼란 속으로 빠져 들었고, 유럽의 예술가ㆍ지식인들은 인민전선, 지적협력국제협회 등을 결성하여 파시즘과 대결을 벌여 나갔다. 이러한 정세는 식민지 조선의 문단에도 영향을 끼쳐 네오­휴머니즘이 촉발되었다. 김오성은 1935년 전후로 소개된 세스토프, 니체, 하이데거 등의 사상을 바탕으로 네오­휴머니즘론을 주창하였다. 과거 르네상스의 휴머니즘이 신과 권위의 지배 밑에서 신음하였던 인간을 해방시켰다면, 오늘날 네오­휴머니즘은 사회적 제약으로 인해 소외된 인간을 해방시키는 이데올로기라는 것이다. 근대의 이성, 객관법칙을 비판하였으며, ‘내재적 초월론’에 입각하여 주체, 행위, 초극을 강조했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안함광은 유물론의 입장에서 네오­휴머니즘을 중간층의 이데올로기로 규정하였다. 도구적 이성을 적극 옹호하였으며, 반파시즘 연대 전선에서 네오­휴머니즘의 의미를 인정하면서도 마르크스주의의 우위를 관철시키고자 하였다. 한편 김동리가 제시했던 네오­휴머니즘론은 김오성ㆍ안함광의 보편주의와는 달리 상대주의에 입각해 있으며, 동아시아 사상에 입각하여 근대 체제 바깥에서 주/객체를 규정해 나갔다는 점이 특징이다. 과학(이성)의 반대편에 자연을 설정하여, 인간이 자연에 융화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네오­휴머니즘론은 전형기의 사상 혼란을 타개하기 위한 이론적 고투가 집약된 담론이며, 해방기 좌파ㆍ우파 각각의 민족문학론 창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As fascism in early 1930 began gaining influence, the world changed into a period of confusion. During this era, many artists and intellectuals started establish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People’s Front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intellectual cooperation in order to confront fascism. This trend had also influenced the Joseon Dynasty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caused the development of neo-humanism in Korea. Kim Ohsung addressed the concept of neo-humanism based on ideas of Cestov, Nietzsche, and Heidegger before and after 1935. If humanism during the Renaissance had freed people from the dominance of religion and authority, modern humanism, at that time, became an ideology that could free segregated people from social limitations. Kim Ohsung criticized the modern rationale and objective rule, but emphasized a subject, action, and conquest based on “intrinsic transcendentalism.” On the other hand, An Hahmgwang classified neo-humanism as an ideology of the middle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in which he proposed as the instrumental reason, and advocated for the superiority of Marxism, even though he acknowledged the meaning of neo-humanism from perspectives of the anti-fascist united front. The neo-humanism concept of Kim Dongli, however, is based on relativism, unlike the universalism ideals of Kim Ohsung, and An Hahmgwang. Furthermore, his concept endorsed the rule of a subject and an object outside the modern system based on an idea of East Asia. He selected nature instead of science (rationale), and emphasized on humans’ co-existence with nature. Neo-humanism is an intense debate over theoretical disputes in order to avoid the confusion of past ideologies, and it significantly resulted in the divis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to that of the leftists and rightists during the emancipa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