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죽음준비교육 활성화 방안: 기독교적 측면에서 (Activation plan for education on death for the elderly: focused on Christian perspectiv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2.08
40P 미리보기
노인죽음준비교육 활성화 방안: 기독교적 측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교회사회사업학회
    · 수록지 정보 : 교회와 사회복지 / 19호 / 193 ~ 232페이지
    · 저자명 : 윤서희, 이경준

    초록

    노년기에는 다른 생애주기보다 자신과 관계를 맺었던 지인들의 죽음을 경험하게 되면서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이러한 관심은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죽음의 질(質)’대해 생각하게 하였고,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주면서 다가오는 죽음에 대해 편안하게 대면 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런 시점에서 직접적인 경험이 불가능한 죽음의 불안감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많은 학자들이 죽음준비교육을 선택하였고, 더욱이 기독교적 측면에서 영성적인 원조 차원에서 노년기에 접어든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죽음인식과 태도로써 죽음을 준비하도록 하는 등 교회의 사회사업적 측면에서의 기여도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죽음준비교육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현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주요특성과 한계점 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기독교적 측면에서의 죽음준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Once we are born, we grow to maturity, and face death inevitable to anyone in the world. Even the highly developed medical technology cannot prevent unfortunate death, and even the universality of death cannot release the anxiety about it. When people get old, they become more interested in death as they come to experience deaths of their acquaintances. These interests made the modern people who seek wellbeing think about‘the quality of death’and made them be interested in the way to help face death comfortably while lessening the anxiety about it. Many scholars chose this education on death to release the anxiety about it, which is impossible to be experienced directly.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tatus of death preparing eduction in Korea for older adults. Especially, citing the resulting data of the cases in which the death preparing education was practic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t has contemplated about its necessity, suggesting the way to activate the education on death and the limit of the program on it in Korea, and tried to provide necessary data for concrete practice that helps to accept death with comfort and dignity.
    As we looked into the educational aspect, social aspect and social welfare aspect of the education on death,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ersonal and social efforts for maturity of death culture. Education on death must include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ultimate purpose of life, meaning of death and fear of death, and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write one’s will, legal knowledge about inheritance, execution of funeral service, burial procedure of the corpse and setting the grave, etc. which are some realistic problems related to death. For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Discussing how to face death can suggest the direction of life on how to live the time left to us. So, studying about death while composing a multi-disciplinary team in various fields such as philosophy, social studies, religious studies, medicine, nursing, social welfare studies must be progressed a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