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를 중심으로 한 안함광의 리얼리즘과 시 비평 고찰 (Study on realism and criticism on poetry of Ahn Ham gwa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0.08
27P 미리보기
해방기를 중심으로 한 안함광의 리얼리즘과 시 비평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2호 / 195 ~ 221페이지
    · 저자명 : 우대식

    초록

    안함광 평론의 큰 특징은 약간의 수정을 거치기는 하지만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안함광이 주장한 리얼리즘 문학론을 해방기를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안함광의 리얼리즘 논의의 핵심에는 늘 현실이 놓여 있었다. 리얼리즘 이론가로서 논리적 공소함을 극복할 수 있는 과학적 논리의 기초가 안함광에게는 현실이라는 개념이었다고 할 수 있다. 혁명적 낭만주의도 당대의 위대한 현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고상한 리얼리즘도 현실생활에 근거한 혁명적 낭만주의를 그 자체 가운데 통일하고 있다고 이해한 것이다.
    안함광의 평문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단어는 바로 생활이다. 안함광은 다양한 국면에서 생활이라는 용어를 구사하고 있는데 단순한 물적 토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물질적 조건에 기초한 사회생활의 반영이라는 측면에서 생활이라는 용어를 주되게 사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구체화된 의식의 실천적 장면을 의미하기도 한다. 문학 대중화에 대해서도 안함광은 “쉽게 쓰라”는 타당한 명제를 부인하지는 않지만 글을 쉽게 쓰는 것만으로 문학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민대중의 생활감정을 충실히 그릴 때 가능한 것이라고 못박고 있다. 카프 시절 안함광이 주장했던 바 “물질적 조건-(현실적 지층)과 동시에 주체적인 작가의 생활적 근거와 합리적으로 통일되어”질 때 우수한 형상적 능력이 발휘되어진다는 말은 해방기에 와서 보다 구체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질적 조건은 당대 북한 사회의 변화하는 하부구조를 이르는 것이며 작가의 생활적 근거는 노동자 농민의 구체적 생활 터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949년경을 전후한 생활 문학에 대한 논의는 전형성과 당파성을 포함한 보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입각한 논의로 전이하게 된다. 예술의 계급성을 강조하며 당성을 강화시킨다는 전제 위에서 인민들의 생활 가운데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안함광의 시비평의 특징은 시인들에게 과학적 세계관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 투철한 유물론자로서 비평가 안함광을 새삼 느끼게 해준다. 이러한 요구는 앞에 언급한 생활이라는 개념과 어우러져 시문학이 현실을 토대로 해야 한다는 리얼리즘의 기본적 명제를 관철시키는 요소가 되고 있다. 해방기 시비평은 북한사회의 사회개혁을 구호적으로 나열하려는 시적 태도를 뼈다귀 시라고 통렬하게 공박하고 단순한 이념의 도구로써 문학을 부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주체적 진실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사상성을 담보로 한 개성적인 시창작에 대한 주문은 해방기 시문학을 적극적으로 검토한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는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riticism of Ahn Ham-gwang is characterized by its logical coherence despite a little revision. This treatise deals with his literary theory of realism centering around the period of Liberation His realism is not out of touch with reality. As a realism theorist, he based the reality upon scientific method in order to surmount the theory void of logicality. He viewed revolutionary romanticism as being relevant to the imminent reality. He also saw that refined realism in itself partakes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based upon the realities of life.
    The word of 'life' is seen most frequently in his critical essays. He commanded the term in its various aspects, by which he did not merely mean simple material conditions. Although he used the term chiefly in the light of a reflection of social life depending upon material conditions, yet he also did it in the light of practical aspects of embodying ideas. When it comes to the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he did not deny the proper proposition, 'write in plain language'; nevertheless, he emphasized that plain writing alone does not make possible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and that it is made possible in fully portraying what the mass of people think, feel, and live. What Ahn said during the period of 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Only when "material conditions (realistic strata) are reasonably integrated into the ground of the life of an author," can the author display his/her abilities to the full. - was much more incorporated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By material conditions Ahn means the changeful infra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North Korea; by the ground of the life of an author he means the basis of the livlihood of laborers and peasants. The discussion on proletarian literature of about the year 1949 changed to the discussion based on socialist realism including its typicality and partisanship. It was argu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must reflect the life of the mass of people on the premise of the emphasis of class-consciousness of art and the reinforcement of loyalty to the Party.
    Ahn's criticism on poetry requires poets to have scientific outlook, which features the critic Ahn as a materialist to the bone. At this point, his assertion is one of the elements that realize the basic proposition of realism that poetry should be based upon the actual life. The criticism on poetry of the period of Libera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poignantly refuted the 'bony poems' making propaganda for social reform and denied the literature as a mere tool of ideology. The request of distinguished poetry writing with ideology through truth of identity can be safely said to make it meaningful to study the poetry of the period of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