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에 따른 조직변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operatives Act Revis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3.12
30P 미리보기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에 따른 조직변경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3권 / 4호 / 1439 ~ 1468페이지
    · 저자명 : 윤창술

    초록

    자본주의 경제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협동조합의 잠재력과 발전가능성, 새로운 경제성장의 추동력으로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UN총회는 2012년을 ‘세계협동조합의 해’로 지정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이에 의거하여 협동조합의 발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를 각국에 권장하게 되었으며 우리나라도 그에 부응하여 2012년 1월 26일에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하여 동년 12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12.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후 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 등의 수리 및 인가가 급증하면서 설립․운영 과정 중 법령 개정 소요가 증대하였고, 이에 협동조합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필요한 규정을 신설하고, 모호한 규정을 명확하게 하는 등의 개정을 하여 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 등 설립․운영의 원활함을 도모하고자 일부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 중 조직변경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개정안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협동조합도 창업의 일종인 만큼 위험부담이 따른다. 조합원이 다수일 경우 그 인적 구성이 복잡하므로 운영에도 애로가 많다. 그런 만큼 협동조합 설립을 준비하는 이들은 사업성과 추진계획에 대한 면밀한 청사진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개정안에 있는 타 법인의 협동조합 및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 허용은 시의적절한 대안이라고 본다. 좋은 취지에서 출발한 협동조합이 사회적․경제적 애물단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체계적인 육성 계획의 수립이 필요로 하는 이 시기에, 과도기적 대안으로 예전부터 함께 뜻을 맞춰 일을 해오고 신뢰가 쌓인 기존의 조직체를 활용하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과 관련하여서는 기존의 개정안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거나 추가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첫째, 우리나라 상법에 새로이 신설된 유한책임회사는 회사를 인적회사와 물적회사로 구별하지 않는 미국법상 제도룰 상법에 도입한 것이다. 기존의 회사와는 도입시기가 다른 유한책임회사에 대하여 그러한 분류방식에 따라 구분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고 유익하지도 않다고 분석하면서 유한책임회사를 인적회사나 물적회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범주에 포섭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또한 유한책임회사는 기존의 유한회사와 서로 다른 기업유형으로 양자간에 구분할 정도의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분석하면서 유사제도의 중복 입법이라는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기존 유한회사 법제를 추가로 보완하여 그 활용도를 제고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이렇게 새로이 도입된 유한책임회사의 복합적인 특성을 감안할 때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에 굳이 유한책임회사를 등장시킬 필요는 없다고 보므로 협동조합기본법 개정안 제60조의2(법인등의 조직변경)와 관련 협동조합으로 전환이 가능한 상법상 물적회사 중 유한책임회사 부분을 삭제하고 기존의 물적회사인 주식회사와 유한회사만을 조직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둘째, 개정안이 논의되던 시기에 제안되었던 “협동조합으로의 조직변경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사항 및 대통령령에서 정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법상 주식회사의 유한책임회사로의 조직변경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는 준용규정을 다시 살려내어 제60조의4로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논리로 굳이 본 개정안의 내용 중 유한책임회사를 유한회사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셋째, 전술한 내용과 보조를 맞추기 위하여 상법 준용 규정인 협동조합기본법 현행 제14조의 내용 중 유한책임회사를 유한회사로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Recognizing co-ops’ development potentials, significance as a source of new economic growth, and the ability to reinforce the weaknesses inherent to capitalist economy, the UN General Council adopted a resolution designating the year 2012 as “the Year of World Cooperatives.” Accordingly the council recommended UN member nations to assess and enhance their laws and systems for co-ops’ growth. In response, Korea passed a new Cooperatives Act on January 26, 2012, and the law took effect on December 1 of that year.
    Although the new popularity of cooperatives and their perception as an alternative business model have led to a proliferation of new cooperatives on a nearly daily basis, many of them fail to take roots and remain in a state of dormancy. Government follow-up policies to the new law have been slow in coming, and entrepreneurs’ lack of understanding into cooperative management has also aggravated the problem. In some quarters there are concerns that the cooperatives boom will lead to a repeat of the previous “venture business crisis,” in which a period of overeager business creations proved to be a great socioeconomic burden when the bubble finally burst. To avoid such a scenario,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top supervisory body of cooperatives, is working on a revision that will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the 2012 Cooperatives Act. Since the rapid creation of cooperatives—both entrepreneurial and socially oriented—has exploded following the 2012 law, revealing a need to revise the law in the process, the ministry proposes that the act be partially amended to add necessary regulations and clarify parts that have been deemed ambiguous. The ministry says the 2012 act will be revised in such a way as to allow maximum liberty in the creation of new cooperatives by members and simultaneously enable efficient supervision by cent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To be more specific, it is the ministry’s purported goal to guarantee cooperatives’ independence but still strengthen responsible supervision via such measures as: permitting corporations to convert to cooperatives, bestowing on municipal governments the authority to supervise cooperatives, requiring cooperatives to make their management public, and requiring political neutrality from cooperatives. In particular, on the matter of transformation, since the current basic cooperatives law contains no provisions regarding structural conversion requirements, the revised law will include specific regulations that will allow corporate bodies to convert to a cooperative format and specify the registration of the new structure (Article 60, Clauses 2 and 3). It will also contain specific regulations that will allow a corporation to convert to a social cooperative and likewise specify the trans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of commercial law (Article 105, Clauses 2 to 4)This article analyzes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revision of the Cooperatives Act and explores possible improvements on it. Since a cooperative is also a form of enterprise, it inevitably involves risks. When the members are numerous, the human factor will complicate management as well. This requires that those who are preparing to launch a cooperative first have a clear blueprint of its viability and proposed projects. On that note, this author considers it timely and wise that the proposed revision will allow established corporations to transform to cooperatives. Such a revision will enable the utilization of preexisting organizations, whose members have already worked together and built a foundation of trust; at a time when specific efforts are needed to make sure that the noble purpose of cooperatives does not degrade to a socioeconomic burden, such a transitional alternative is a sound idea. However, in terms of specifics, it may be desirable to alter or supplement the revision proposal as follows.
    First, It will be better to remove limited liability companies from companies that may convert to cooperatives, and offer that option only to corporations and private companies, which are both realgesellschaft.
    Second, this author recommends the revival of a clause which was suggested during the discussion phase of the current revision. The discarded clause states: “Concerning transformation to a cooperative, apart from the provisions of this law and those of presidential executive orders, the same regulations that apply to the transformation of a corporation to a limited liability company shall apply.” It will be better to revive this part as Clause 4 of Article 60. But again in this case, for the same logic as in the previous paragraph, limited liability companies should be replaced with private companies.
    Third, to maintain consistency with the above, mentions of limited liability companies in the current Article 14 of the Cooperatives Act should be revised as private compan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