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제국 시기 카안 울루스 勅令制度의 형성과 발전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mperial Order System in Qa’an Ulus of the Mongol Empir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9.11
26P 미리보기
몽골제국 시기 카안 울루스 勅令制度의 형성과 발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90호 / 167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석환

    초록

    本稿는 몽골제국 카안 울루스의 勅令制度가 어떻게 운영되었고, 그 안에서 확인되는 특징은 무엇인지를 규명한 연구이다. 칭기스 칸이 文字와 文書에 기반한 勅令制度를 받아들인 이후로 勅令制度는 대칸이 권력을 행사하고 국가를 통치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대칸을 비롯한 몽골 통치 집단들은 勅令制度의 운영을 定住民들에게 일임하지 않고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체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勅令制度는 하나의 ‘傳統’이 되어 이후 각 울루스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古來로 定住文化가 번창한 中國을 주요 세력 근거지로 한 쿠빌라이 이후 카안 울루스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대칸의 口頭命令은 케식에 의해 勅令 작성기관에 전달되었는데, 그들은 대칸의 말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문화적 親緣性을 가졌고 대칸의 신임을 받았기 때문이다. 대칸의 勅令 중에는 翰林院에서 작성하는 전형적인 漢文詔書들도 있었으나, 蒙古翰林院에서는 대칸의 말을 그대로 옮긴 蒙文直譯體 聖旨들을 작성하였다. 또 쿠빌라이는 파스파字를 창제하여 자신의 말을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카안 울루스에서도 여전히 勅令의 신빙성 보장을 위해 印章이 사용되었고, 勅令은 추후 확인 및 참고를 위해 보관되었다. 대칸의 말을 옮긴 ‘聖旨(jarligh)’의 구조도 기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는데, 대체로 ‘권한부여’ - ‘發令者 및 命令文 유형’ - ‘명령의 대상자’ - ‘배경’ - ‘명령내용’ - ‘위협’ - ‘일시 및 장소’ 등으로 작성되었다. 일부 새롭게 도입된 변화의 요소가 있었지만 그 역시 기존 傳統의 變容이었다.
    몽골제국의 勅令制度에는 위구르와 中國, 그리고 이슬람 등 다양한 문화요소가 확인되지만 勅令制度를 운용하는 기본 방식은 몽골제국 초기에 확립된 이래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몽골제국의 勅令制度는 칭기스 칸이라는 상징적인 존재에 의해 형성된 일종의 典範이자, 넓게는 제국 전체, 작게는 각 울루스를 통치하는 데 효율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勅令制度가 비록 遊牧文化에서 기원한 것은 아니지만 몽골제국을 관통하는 소위 ‘帝國的 制度’의 하나로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ongols in Qa’an Ulus adopted and used the imperial order system, and its features. After Chinggis Khan introduced the imperial order system based on letters and documents, it became an important way for the Great Khan to wield his power and govern his state. Consequently, the Great Khan and the ruling group did not leave the management of the imperial order system absolutely in the hands of sedentary subjects, bu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it. Over time, the imperial order system became a ‘tradition’ and it survived intact in other uluses.
    The situation was very much the same in Qa’an Ulus based on China where sedentary cultures had bloomed from the old days. Keshig delivered the Great Khan’s oral orders to the specific office to be written, because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Great Khan’s word and enjoyed his great confidence. Among edicts, there were traditional ones in the Chinese style written by Hanlin Academy. However, through the Mongol Hanlin Academy, other imperial orders in a unique literal translation style were also issued in order to convey the Great Khan’s word verbatim. Furthermore, Qubilai introduced the 'Phags-pa Script, which was used for the imperial orders. Moreover, in Qa’an Ulus, seals were put on edicts as well. Then, those decrees were stored for the future. The basic structure of the imperial order remained as it was, and it was comprised of ‘Authorization’, ‘Addresser and Order Type’, ‘Addressee’, ‘Background’, ‘Text’, ‘Intimidation’, and ‘Date and Place.’ Although some changes occurred in this structure, they could be regarded as a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tradition.
    It is possible to find some influences by Uyghur, Chinese, and Islamic cultures, but it had never been changed on how to run and use it from the time of Chinggis Khan. To the Mongols, he was a symbolic person and he became a model to his descendants. Also, the imperial order system initiated by him and developed as time passed was very helpful to govern the Mongol Empire and uluses in it. Therefore, although the imperial order system did not originate from the nomadic culture, we could define it as an ‘imperial institution’ of the Mongol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