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U 외국인투자심사개정안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EU's Proposal for a New Regulation on the Screening of Foreign Investment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4
26P 미리보기
EU 외국인투자심사개정안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EU학회
    · 수록지 정보 : EU학 연구 / 29권 / 1호 / 55 ~ 80페이지
    · 저자명 : 정세정

    초록

    2019년 EU 외국인투자심사규정(EU Regulation 2019/452)은 EU 지역에 대한 외국인직 접투자가 안보 또는 공공질서에 영향을 미칠 경우 심사를 위한 체계(framework)와 회원국과 EU 집행위원회 간의 협력 매커니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EU 외국인투자심사규정은 회원국이 외국인투자심사제도 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고, 회원국별로 상이한 외국인투자심사법에 대해서는 규제하지 않았다. 또한,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간접투자는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ECJ의 Xella 판결은 대표적으로 그와 같은 취약점이 드러난 사건이었다. 이에 EU 집행위원회는 2023년 6월 경제안보 전략을 발표하면서 외국인투자심사규정을 개정하겠다고 밝혔고, 2024년 1월 EU 외국인투자심사규정 개정안이 공개되었다. 개정안은 EU 역내에서 이루어지는 투자에 대해서도 적용되도록 심사대상을 확대하였고, 회원국의 자율적 선 택에 맡겨졌던 외국인투자심사제도를 의무화하였다. 또한, 회원국이 갖추어야 할 외국인투자심사의 최소한의 요건으로 심사절차 이원화, 직권 심사권한 등을 규정하였다. 한편, 개정안은 통보와 관련한 EU 협력 매커니즘을 강화하고, 다른 규정과의 정합성과 명확성을 제고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개정안은 외국인투자심사대상을 확대하고, EU 회원국에게 의무적으로 외국인투자심사제도를 도입할 것을 강제한 측면에서 외국인투자 규제를 강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직접투자 뿐만 아니라 간접투자까지 포함했다는 측면에서 패러다임 전환으로도 볼 수 있다.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EU 협력 매커니즘의 실효성을 향상시킬 것이고, 이를 통해 집행위원회의 적극적인 조정 기능이 기대된다. 다만, 우리나라 기업으로서는 EU 지역에 대한 직접투자 뿐만 아니라 간접투자까지 EU 외국인투자심사규정의 대상이 될 것이므로 시간과 비용 등이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EU가 심사를 의무화한 분야는 우리나라가 외국인투자심사를 하는 분야에 비해 넓다고 분석되는바, 우리나라도 그간 외국인투자심사 과정에서 드러난 취약점을 검토하는 등 관련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EU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Regulation (EU Regulation 2019/452) was introduced in 2019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creening foreign direct investments into the EU region that may affect security or public order. It also created a cooperation mechanism between member states and the European Commission. However, EU Regulation 2019/452 allowed member states to choose whether to adopt a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and did not harmonize the different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laws of member states. Additionally, it stipulated that only ‘foreign direct investment’ was subject to the regulation, excluding investments made through companies within the EU region, This exclusion occurred despite the same risks being recognized due to foreign control, as revealed in the ECJ’s Xella Judgment. In June 2023, the European Commission announced its economic security strategy, which included plans to amend EU Regulation 2019/452. In January 2024, the proposal for a new regulation on the screening of foreign investments was published. The proposal expanded the scope of the screening to include investments made within the EU region and mandated all member states to adopt a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mechanism, which was left to the discretion of the member states previously. The proposal also defined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a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that member states must have. These requirements include dual screening procedures of initial review and in-depth investigation, as well as ex officio screening authority. Meanwhile, the proposal strengthened the EU cooperation mechanism on notification and revised some provisions to improve consistency and clarity with other regulations such as free movement of capital and freedom of establishment, EU Merger Regulation, Foreign Subsidies Regulation, and export control. The proposal can be seen as strengthening foreign investment regula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and compelling member states to adopt a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It can also be viewed as a paradigm shift in the foreign investment legal jurisprudence derived from foreign direct investment regime. The proposal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U cooperation mechanism. Through this, the European Commission’s active coordination function is anticipated. However, for Korean companies, there is a concern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s in the EU may become subject to the regulation, potentially increasing additional time and costs. On the other hand, the scope that the EU has made mandatory for screening is analyzed to be broader than that of Korea’s current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under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This suggests that Korea should start reviewing the vulnerabilities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후